 자살_1
          9장. 자살1. 자살의 정의 자살이란 '자발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자기 생명을 끊거나 끊으려고 시도하는 행동 혹은 그러한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자살'이라 하여 지나친 흡연, 과도한 음주, 위험한 운동, 위험한 직업, 섭식 장애, 과도한 업무 등 분명 자발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이긴 하지만 그 행동이 자기 목숨을 끊으려는 의도를 내포하지 않은 경우이며 자살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육성필, 2013). 자살 행동은 크게 자살 생각, 자살 시도, 자살 완료로 나뉜다. 자살 생각은 자살하는 것에 관한 생각이나 사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죽기 위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행동, 사고, 정서를 의미한다(조현진, 1990). 자살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일시적으로 갖는 ..
          
            2025. 10. 27.
            
          
          자살_1
          9장. 자살1. 자살의 정의 자살이란 '자발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자기 생명을 끊거나 끊으려고 시도하는 행동 혹은 그러한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자살'이라 하여 지나친 흡연, 과도한 음주, 위험한 운동, 위험한 직업, 섭식 장애, 과도한 업무 등 분명 자발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이긴 하지만 그 행동이 자기 목숨을 끊으려는 의도를 내포하지 않은 경우이며 자살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육성필, 2013). 자살 행동은 크게 자살 생각, 자살 시도, 자살 완료로 나뉜다. 자살 생각은 자살하는 것에 관한 생각이나 사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죽기 위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행동, 사고, 정서를 의미한다(조현진, 1990). 자살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일시적으로 갖는 ..
          
            2025. 10. 27.
          
        
       
    
    
  
        
    
        
    
      
        
          
            
               인터넷 중독_4
          제8장. 인터넷 중독5. 인터넷 중독 예방과 대처1) 정부의 대처 청소년 인터넷 중독 대처를 위해 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가족 유치캠프, 치료비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 발굴부터 상담, 치유, 사후관리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전국 17개 광역시도별로 스마트쉼센터까지 개설되어 있다. 스마트쉼센터는 최근 과의존 스마트폰 예방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즉, 예방 교육, 전문 상담(온라인 상담, 전화 상담, 내방 상담), 예술 치료 등을 실시, 방문 상담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가정 방문 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쉼센터 상담 전화번호는 1599-0075이다. 2) 예방하기(1) 건전한 인터넷 문화 조성 가정..
          
            2025. 10. 12.
            
          
          인터넷 중독_4
          제8장. 인터넷 중독5. 인터넷 중독 예방과 대처1) 정부의 대처 청소년 인터넷 중독 대처를 위해 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가족 유치캠프, 치료비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 발굴부터 상담, 치유, 사후관리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전국 17개 광역시도별로 스마트쉼센터까지 개설되어 있다. 스마트쉼센터는 최근 과의존 스마트폰 예방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즉, 예방 교육, 전문 상담(온라인 상담, 전화 상담, 내방 상담), 예술 치료 등을 실시, 방문 상담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가정 방문 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쉼센터 상담 전화번호는 1599-0075이다. 2) 예방하기(1) 건전한 인터넷 문화 조성 가정..
          
            2025. 10. 12.
          
        
       
    
    
  
        
    
        
    
      
        
          
            
               인터넷 중독_3
          제8장. 인터넷 중독4. 인터넷 중독의 평가인터넷 중독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 중 최근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표준화된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K-척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 척도는 유아용(관찰자용), 청소년용, 성인용이 있다. 유아용은 관찰자용이며, 청소년용과 성인용은 자기보고식과 관찰자용이 있다. 각각 15개 문항구성, 모두 4점 척도, 총점범위는 20~80점이다. 하위요인의 구성과 문항 수는 일상생활장애 5문항, 가상세계지향 2문항, 금단 4문항, 내성 4문항이다. 청소년 관찰자 진단에서는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 · 고등학생에 대한 관찰자(상담자, 교사, 학부모 등)이고, 하위요인별 문항수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구성과 같다.
          
            2025. 10. 11.
            
          
          인터넷 중독_3
          제8장. 인터넷 중독4. 인터넷 중독의 평가인터넷 중독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 중 최근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표준화된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K-척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 척도는 유아용(관찰자용), 청소년용, 성인용이 있다. 유아용은 관찰자용이며, 청소년용과 성인용은 자기보고식과 관찰자용이 있다. 각각 15개 문항구성, 모두 4점 척도, 총점범위는 20~80점이다. 하위요인의 구성과 문항 수는 일상생활장애 5문항, 가상세계지향 2문항, 금단 4문항, 내성 4문항이다. 청소년 관찰자 진단에서는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 · 고등학생에 대한 관찰자(상담자, 교사, 학부모 등)이고, 하위요인별 문항수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구성과 같다.
          
            2025.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