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6

다문화 청소년 10장. 다문화 청소년1. 다문화 청소년의 정의1) 다문화의 개념 다문화는 여러 나라의 생활양식을 뜻하며, 기술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의 존재 자체를 말한다. 다문화는 국제화와 세계화 시대에 각 나라와 민족의 문화를 연결 · 반영 · 적용하여 각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를 가진 사람으로 구성된 가정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한다.2)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구분 '다문화 가정 자녀'라는 용어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과 청소년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 청소년 나이에 속하는 집단만을 일컫는 용어로 두 가지 이상의 문화권에 걸쳐 성장하고 생활하는 청소년을 말한다(정하성, 2007).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2025. 11. 1.
자살_2 9장. 자살4. 자살 예방과 대처1) 자살의 예방(1) 사회적 지지자원 개발 청소년이 느끼는 사회적 고립감은 무가치감, 삶의 목적 상실, 이 사회에 자기 자리가 없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또 청소년이 생각한 사회적 지지체계는 '위험한 행동 금지 계약서' 작성에도 포함시켜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한 명의 사회적 지지자라도 있는 경우에는 청소년에게 연계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2) 학교의 노력 청소년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곳이 학교이고, 학교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자살을 야기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학업과 관련된 과한 스트레스를 인식하고 교과과정이나 생활 지도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학교에서는 위험해 보이는 청소년을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준.. 2025. 10. 27.
자살_1 9장. 자살1. 자살의 정의 자살이란 '자발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자기 생명을 끊거나 끊으려고 시도하는 행동 혹은 그러한 경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유사 자살'이라 하여 지나친 흡연, 과도한 음주, 위험한 운동, 위험한 직업, 섭식 장애, 과도한 업무 등 분명 자발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이긴 하지만 그 행동이 자기 목숨을 끊으려는 의도를 내포하지 않은 경우이며 자살의 하위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육성필, 2013). 자살 행동은 크게 자살 생각, 자살 시도, 자살 완료로 나뉜다. 자살 생각은 자살하는 것에 관한 생각이나 사고로 정의할 수 있으며, 죽기 위한 계획을 구체적으로 생각하는 행동, 사고, 정서를 의미한다(조현진, 1990). 자살 생각은 누구나 한 번쯤 일시적으로 갖는 .. 2025. 10. 27.
인터넷 중독_4 제8장. 인터넷 중독5. 인터넷 중독 예방과 대처1) 정부의 대처 청소년 인터넷 중독 대처를 위해 여성가족부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과 청소년 상담복지센터를 중심으로 가족 유치캠프, 치료비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 청소년 발굴부터 상담, 치유, 사후관리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전국 17개 광역시도별로 스마트쉼센터까지 개설되어 있다. 스마트쉼센터는 최근 과의존 스마트폰 예방 해소에 주력하고 있다. 즉, 예방 교육, 전문 상담(온라인 상담, 전화 상담, 내방 상담), 예술 치료 등을 실시, 방문 상담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가정 방문 상담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쉼센터 상담 전화번호는 1599-0075이다. 2) 예방하기(1) 건전한 인터넷 문화 조성 가정.. 2025. 10. 12.
인터넷 중독_3 제8장. 인터넷 중독4. 인터넷 중독의 평가인터넷 중독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 중 최근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표준화된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K-척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 척도는 유아용(관찰자용), 청소년용, 성인용이 있다. 유아용은 관찰자용이며, 청소년용과 성인용은 자기보고식과 관찰자용이 있다. 각각 15개 문항구성, 모두 4점 척도, 총점범위는 20~80점이다. 하위요인의 구성과 문항 수는 일상생활장애 5문항, 가상세계지향 2문항, 금단 4문항, 내성 4문항이다. 청소년 관찰자 진단에서는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 · 고등학생에 대한 관찰자(상담자, 교사, 학부모 등)이고, 하위요인별 문항수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구성과 같다. 2025. 10. 11.
인터넷 중독_2 제8장. 인터넷 중독2. 인터넷 중독의 현황 미래과학창조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2015)은 인터넷 위험군을 유 · 무선 인터넷을 과다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금단 · 내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생활에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로 정의하고, 2014년 만 3세 이상 59세 이하 인터넷 사용자 18,500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위험군 현황을 조사했다.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12.5%였으며, 그중 고위험군은 2.9%, 중위험군은 9.6%로 나타났고, 유 ·아동은 5.6%, 성인은 5.8%였다. 초 · 중 · 고등학생 중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이 13.2%로 가장 높았고, 환경적으로는 맞벌이 가정(12.9%)과 한부모 가정(13.3%)의 청소년.. 2025.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