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출_3
6장. 가출4. 청소년 가출 예방과 대처1) 가출 생활 전환 영향 요인 아우어스발트와 에어(2002)는 집 없는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집 없는 청소년의 생활주기 모델을 제시하였다. 집 없는 청소년은 [그림6-1]과같이 주류, 거리 생활 시작, 입문, 유지, 불균형, 이탈, 반복이라는 7단계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단계, 가출청소년이 거리에서 이방인이라는 심각한 심리적 감정과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절박함에 직면해 고통을 받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 거리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 다시 집으로 복귀하거나 사회체계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거리 생활을 벗어나려고 노력한다. 세 번째 단계, 거리에 남게 된 청소년이 거리에서 만난 사람, 즉 거리의 멘토에 ..
2025. 9. 6.
가출_2
6장. 가출3. 청소년 가출의 원인과 문제1) 청소년 가출의 원인(1) 개인 요인 청소년 가출의 개인 요인으로는 우울, 불안, 충동성, 경계선 성격특성, 정서적 스트레스, 대처 능력, 자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 성 경험과 음주, 흡연 등의 일탈 경험, 낮은 사회지향이나 낮은 자존감 등의 반사회적 성격 소유, 심리적 부적응, 정신질환, 성 경험 등이 파악되고 있다. 특히 여성 청소년은 불법적이고 위험한 성적 행동에 빠지게 되면 다시 희생양이 될 위험성이 높다. 또한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 청소년이나 성전환 청소년은 성정체성의 갈등 때문에 가족이나 학교 친구로부터 배척당함에 따라 가출하거나 집에서 쫓겨나게 된다(Gaetz, 2004; Whitbeck et al., 2004). (2) 가족 요인 청소년의 가..
2025.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