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54

일과 은퇴_Ⅰ 성인기 일의 중요성대부분의 성인에게, 커리어는 전일제 근무와 시간제 근무, 가족을 책임지기 위해 잠시 시간을 내는 것, 은퇴 그리고 근본적으로 은퇴 추구로 평생 지속된다. Super의 진로 발달 이론Super 이론의 첫 번째 구성요소는 전 생애로, 5개의 구분된 진로 단계로 나누었다. 단계나이직면해야 할 과제와 문제들성장기4~14중요한 타인과의 동일시, 자기–개념발달세상에 대한 즉각적 학습미래에 대한 지향, 인생에 대한 통제, 목표 의식과 신념 발달직업–관련 태도 발달, 일에 대한 태도와 적성 획득탐색기15~24선호 직업의 명료화직업 선택의 구체화 및 적용확립기25~44직업의 안정화, 직업을 공고히 하는 시기, 승진유지기45~65성취 직업 획득과업을 새롭게 하고 혁신시킴재평가, 새롭게 갱신쇠퇴기65+작업.. 2025. 1. 23.
사회적 관계_Ⅳ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성인기 부모–자녀 관계 성인기 부모–자녀 관계에서 중요한 질문은 "아동기 애착 유대는 어떠했는가?"이다. Bowlby(1969)는 애착이 병적이거나 극도로 고통스러운 시기를 제외하고는 청소년기 동안 애착은 감소하다가 파트너에게 전환되면서 결국 사라진다고 하였다. 아동이 성인이 되어 자기 가정을 꾸리게 되면 부모와의 애착 유대는 점차 약화되어 결국 끝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정서적으로 힘들어질 것이다. 부모와의 애착을 포기하는 것은 후기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의 개별화 달성 과정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Weiss, 1986). 하지만 최근에는 부모와 아동의 애착이 청소년기에 감소하지 않으며, 형태가 약간 변형된다고 하였다(Cicirelli, 1991). .. 2025. 1. 21.
사회적 관계_Ⅲ 친밀한 파트너 관계성공적인 결혼결혼생활에서 긍정적인 부분이 부정적인 부분보다 우세하면 결혼 만족도가 증가한다. 평가의 주요 요소에는  • 애정과 존경 : 커플의 이야기가 사랑과 존중으로 가득한가? 그들의 따뜻함, 유머, 애정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는가? 좋았던 시간을 강조하는가? 그들은 서로 칭찬하는가? • '우리' 대 '나' : 커플의 신념, 가치, 목표가 일치하는가? 커플이 '나'보다는 '우리'라는 말을 쓰는가? • 사랑 지도 : 커플이 그들의 관계 역사를 다양한 세부 사항들과 긍정적 에너지로 묘사하는가? 그들 자신이나 파트너에 대한 개인적 정보를 개방하는가? • 혼돈 대신 목적과 의미 : 커플은 그들이 함께한 세월에서 극복했던 고난을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가? 그들은 함께 공유한 목표나 소망에 .. 2025. 1. 14.
사회적 관계_Ⅱ 친밀한 파트너 관계 대부분의 성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가 친밀한 파트너 관계이다. 친밀한 관계 형성하기 대부분의 성인은 친밀한 파트너와 관계를 경험하고 친밀한 파트너 관계의 형성은 모든 문화에서 발견된다. 대부분의 사람은 파트너를 선택한다. 일부 사회과학자는 친밀한 관계의 형성은 성욕 체계, 매력 체계, 애착 체계의 과정이며, 이것은 신경전달물질과 뇌 활동의 패턴이 포함된 과정이다. 성욕 프로이트는 리비도 또는 성적 욕구가 모든 친밀한 관계의 기본이라 믿었고 그런 관계의 경험은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던 타인에게서 느껴지는 성적 욕구의 정도에 좌우된다(Jones, 1981). 성욕은 낭만적 사랑의 일부이지만,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성인은 낭만적인 관계가 아닌 사람에게서도 성욕을 느낄 뿐만 아니라 낭.. 2025. 1. 8.
사회적 관계_Ⅰ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론애착 이론 사회적 관계에 대한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이론 중 하나가 애착 이론이다. 애착이란 일반적으로 유아와 주 양육자 사이에 형성되는 강한 정서적 유대이다. 애착 유대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애착 행동으로 애착 유대를 추론해야 한다. 안정 애착 유아는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이 방으로 들어올 때 미소 짓고, 무서울 때 좋아하는 사람에게 매달리고, 새로운 환경을 탐색할 때 안전 기지로 좋아하는 사람을 사용한다. 애착의 세 가지 주요한 특성은 ① 애착 대상이 안정감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 ② 아동이 스트레스나 위협적인 상황일 때 애착 행동의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 ③ 애착 대상과 분리를 회피하거나 끝내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Weiss, 1982). 성인은 배우자나 파트너와 강한 .. 2025. 1. 6.
사회적 역할_Ⅲ 중년기에서의 사회적 역할 이 시기는 신체적 건강의 안정과 인생의 질이 향상하고, 자녀의 자급자족으로 부모 역할은 덜 부담된다. 여성의 가임기는 대부분 끝이 나고,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은 조부모가 되며, 결혼 생활과 배우자 관계는 더욱 행복해진다(골치 아픈 배우자는 청산하거나, 더 좋은 배우자를 찾거나, 혼자 살기를 택한다).  자녀들의 떠남 : 빈 둥지 중년기는 '부모 후 시기'라고 불린다. 부모의 역할은 변하고, 훨씬 덜 힘들어지고 시간을 덜 소모하게 된다. 중년기에는 부모 역할이 매일의 역할로부터 자녀가 집을 떠나고 그들의 가정을 꾸리면서 좀 더 원거리 형으로 변화하지만, 끝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부모는 이러한 역할전환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삶을 재구조화하는 자유를 즐긴다.  중년기의 .. 2025.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