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다문화 청소년
1. 다문화 청소년의 정의

1) 다문화의 개념
다문화는 여러 나라의 생활양식을 뜻하며, 기술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의 존재 자체를 말한다. 다문화는 국제화와 세계화 시대에 각 나라와 민족의 문화를 연결 · 반영 · 적용하여 각 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민족과 문화를 가진 사람으로 구성된 가정을 다문화 가정이라고 한다.
2)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구분
'다문화 가정 자녀'라는 용어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과 청소년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로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 중 청소년 나이에 속하는 집단만을 일컫는 용어로 두 가지 이상의 문화권에 걸쳐 성장하고 생활하는 청소년을 말한다(정하성, 2007).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가정으로 구분되고, 국제결혼 가정은 국내 출생 자녀와 중도 입국 자녀로 구분된다.
국제결혼 가정의 다문화 청소년에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거나 한국인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청소년을 말하며, 외국인 가정의 다문화 청소년은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혼하여 태어난 청소년이거나 본국에서 결혼하여 형성된 가족이 한국에 이주한 가정의 청소년을 말한다.
우리 사회 다문화 청소년의 유형은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외국인 노동자 가정의 자녀, 새터민 자녀로 나눌 수 있다.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는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어머니 혹은 한국인 어머니와 외국인 아버지가 결혼한 가정에서 태어난 청소년이다. 외국인 노동자 가정의 자녀는 본국에서 태어나 부모의 초청으로 한국에 왔거나, 한국에서 태어나서 자란 청소년이다. 새터민 자녀는 북한 출신으로 탈북하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이거나, 부모의 탈북 이후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청소년이 해당한다.
2. 다문화 청소년의 현황
다문화 가정의 자녀 수는 2007년 44,258명에서 2009년에는 107,689명으로 2배가량 증가, 2017년에는 약 5배 증가한 222,455명, 2018년에는 다시 증가하여 237,506명으로 파악되었다.
자녀 연령대별 분포를 보면, 2018년 만 6세 이하 114,125명(48.0%), 만 7~12세는 92,368명(38.8%), 만 13~15세는 19,164명(8.0%), 만 16~18세는 11,849명(4.9%)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다문화 초 · 중 · 고 학생 수는 점차 증가하여 2019년 총 137,225명으로 전체 학생의 2.49%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학생은 매년 20만 명씩 감소하나, 다문화 학생 수(초등학생 75.7%, 중학생 15.8%, 고등학생 8.2%)는 6천 명 이상씩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