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172 학업중단_3 5장. 학업중단4. 학업 중단의 문제점1) 근로소득의 감소 학업 중단 청소년은 니트(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NEET)족으로의 전락할 가능성이 약 60%로서 이들은 학업 중단 이후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윤철경, 2010). 학업 중단 청소년의 취업 형태는 임시일용직에 국한되어 취업 안정성이 낮고, 업무량에 비해 낮은 소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동선,이상준, 2009). 정규직이라도 근로환경, 시간, 임금수준이 매우 낮은 편이라서 원하는 직업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용노동부,2009). 이런 문제는 성인기에도 쭉 이어져 이들은 직업 선택의 폭이 제한되고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는 등 사회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며 소득수준이 낮은 사회적 .. 2025. 7. 28. 학업중단_2 5장. 학업 중단3. 학업 중단의 원인 학업 중단 원인은 아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한 가지 요인에서 학업중단이 발생한다기보다는 여러 요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다발적 원인으로 나타나는 경향성을 띤다.1) 개인 요인 학자들이 공통으로 주장하고 있는 요인은 청소년의 낮은 자아존중감, 자아 통제력, 충동성, 우울, 사회성 등이다(공윤정 외, 2012).하지만 학업중단 원인이 자기효능감, 충동성, 공격성 등의 개인의 심리적 요인만이 아니라는 연구도 있다. 이러한 학업 중단 원인의 개인 요인에 대한 차이는 학업 중단의 자발적 여부에 따라 청소년의 개인 내적 성향도 달라짐을 의미한다. 가령, 학교의 학업성취 수준의 기대가 낮아서 검정고시나 유학 등을 준비하는 청소년에게는 다른 학업 중단 청소년보다 높은.. 2025. 7. 21. 학업중단_1 5장. 학업 중단1. 학업 중단의 이해1) 학업 중단의 정의 학업 중단 청소년은 더 이상 학교에 다니지 않고 정규교육 과정을 중단하고 일정 기간 학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말한다(홍나미 외, 2013). 과거에는 학업 중단 청소년을 중퇴생, 학업 중도 탈락자 등으로 불렸으나, 2002년 교육부에서 학업 중단 청소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2003년 개정된 ⌜청소년 기본법⌟에서 '학업 중단'을 규정한 이후에 학업 중단을 보편적으로 사용하였다(이현주, 김용남, 2012). 최근에는 학교 밖 청소년이라는 용어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012년 서울시가 최초로 학교 밖 청소년 종합지원 대책발표, 2014년 ⌜학교밖청소년법⌟제정되어 2015년 시행, 여성가족부는 ⌜학교밖청소년법⌟근거 '학교 밖 청소.. 2025. 7. 14. 학교폭력_4 4장. 학교폭력3.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2) 학교폭력 예방 ⌜학교폭력예방법⌟ 제15조에 따라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장은 학생에게 예방 교육을 학기별로 1회 이상 실시해야 하며,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 2회 이상, 교직원을 대상으로 학기별 1회 이상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기본 교육 외에도 학교에서는 자원봉사자 등을 활용하여 교내 순찰 지도를 하기도 하고, 학교폭력 예방 UCC 공모전이나 학교폭력 예방 연극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교폭력 예방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일정 훈련을 받은 후 또래의 친구를 상담해 주는 또래 상담 프로그램은 2010년부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2차 5개년 계획의 하나로 대부분의 중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유사한 형식으로 또래 학생의 갈등을 돕는 또래 조정 프로그램이.. 2025. 7. 7. 학교폭력_3 4장. 학교폭력3.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1) 교육부의 예방과 대처 ⌜학교폭력예방법⌟ 제20조 제1항에 따라 학교폭력 현장을 목격하거나 그 사실을 알게 된 사람은 누구라도 학교폭력신고센터(117)나 학교 등 관계기관에 즉시 신고를 해야 한다. 신고된 학교폭력은 학교 차원에서 자체 해결하거나 교육지원청에 있는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조치된다. 2019년 개정되기 전에는 각 학교의 학교폭력 자치위원회에서 심의하였으나 학교폭력이 많아지면서 학교에서 담당하기 어려워지고, 학교폭력 자치위원회의 전문성 또한 부족한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학교가 아닌 교육지원청에서 전문적으로 심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교육지원청에서 학교폭력이 심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1) 초기 대응① 인지 · 감지 노력 가정과 학교에서 학교.. 2025. 7. 7. 이전 1 2 3 4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