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내재화 문제_Ⅲ
3. 자살1) 특성과 실태 자살 생각이나 시도는 주요 우울장애를 규정하는 9가지 진단 기준의 하나이다. 슈나이드먼(Shneidman,1993)에 의하면 자살이란 스스로를 전멸시키려는 의식적 행위이며, 자살이 최선의 해결책이라고 단정 짓는 개인의 다차원적인 불쾌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자해행위인데, 자살의 강도는 자살 생각, 자살 시도, 자살 행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살의 진행을 살펴보면, 자살을 생각하지 않는 생활에서 일시적으로 자살 생각을 했다가, 점차 강도가 심해져서 심각한 자살 시도를 했다가, 결국 자살에 이른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자살하려는 과정은 1단계, 문제 발달기로 문제는 아동기부터 존재한 것일 수 있고 최근 비롯된 것일 수 있다. 2단계, 문제 급등..
2024.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