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소년노동2 청소년 노동_2 11장. 청소년 노동2. 청소년 노동 실태 분석1) 청소년 경제활동 참가율 청소년 생산가능인구는 2009~2014년 동안 0~1%로 증가, 2015년부터 다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청소년 경제활동 참가율을 OECD 회원국과 비교하면, 2018년 OECD 회원국 청소년의 평균 경제활동 참가율은 47.5%로 우리나라보다 18.2%p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그리스 포함 이탈리아, 벨기에와 함께 청소년 경제활동 참가율이 하위 국가군에 속한다. 청소년 경제활동 참가율이 가장 높은 OECD 회원국은 아이슬란드(79.8%), 네덜란드(68.9%), 스위스(68.0%), 호주(67.9%), 캐나다(63.3%), 영국(60.7%) 등이다.2) 청소년 실업 현황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노동 의욕과 능력이.. 2025. 11. 17. 청소년 노동_1 11장. 청소년 노동1. 청소년 노동의 이해 1) 청소년 노동의 정의 청소년 노동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청소년 중 학업을 수행하지 않고 노동현장에서 직업으로 일을 하는 청소년이고, 둘째는 학업을 수행하면서 아르바이트 명목으로 노동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이다. 또한 학업을 더 이상 하지 않아 노동현장에 자의적 · 타의적으로 참여해야 하지만 참여하고 있지 않은 무직 청소년도 있다. 일반적으로 ⌜청소년 기본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청소년 나이는 9세에서 24세까지이지만 ⌜근로기준법⌟에서는 노동 가능 나이를 15세 이상 65세 미만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아르바이트 청소년은 9세부터 24세 청소년 가운데 학업을 병행하면서 노동에 참여하고 있는청소년으로 볼 수 있지만, 무직 청소년은 15세 이.. 2025. 11.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