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소년 문제와 보호28

인터넷 중독_2 제8장. 인터넷 중독2. 인터넷 중독의 현황 미래과학창조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2015)은 인터넷 위험군을 유 · 무선 인터넷을 과다 사용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금단 · 내성을 지니고 있고 일상생활에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로 정의하고, 2014년 만 3세 이상 59세 이하 인터넷 사용자 18,500명을 대상으로 가구 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위험군 현황을 조사했다.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12.5%였으며, 그중 고위험군은 2.9%, 중위험군은 9.6%로 나타났고, 유 ·아동은 5.6%, 성인은 5.8%였다. 초 · 중 · 고등학생 중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 위험군이 13.2%로 가장 높았고, 환경적으로는 맞벌이 가정(12.9%)과 한부모 가정(13.3%)의 청소년.. 2025. 10. 4.
인터넷 중독_1 8장. 인터넷 중독 우리나라 인터넷 보급률은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른다. 청소년은 친구와 인터넷 채팅을 통해 의사소통하고, 인터넷으로 유명 강사의 강의를 듣고, 성인도 인터넷으로 쇼핑하고, 뉴스도 인터넷으로 보는 생활을 한다. 이제는 인터넷이 없는 세상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생활의 일부가 되었고, 다양한 자신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되면 인터넷 중독이라는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청소년은 조절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터넷 중독이 되는 것이 용이하고 이는 낮은 학업성적, 부모와의 갈등, 친구들로부터의 소외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1. 인터넷 중독의 이해 1) 인터넷 중독의 정의 1995년 골드버그(Goldberg)가 인터넷 중독을 최초로 언급했으며 인터넷을 지나치게 많이 사용하여 임.. 2025. 9. 28.
성문제_2 7장. 성문제3. 청소년 성문제의 원인1) 개인 발달적 측면 급격한 신체 발달과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는 성호르몬 분비로 인한 2차 성징으로 남자, 여자 모두 두드러진 변화를 나타낸다. 2차 성징과 급격한 신체 발달로 신체와 정서 간 불균형이 초래되어 불안정감을 초래하며, 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여러 가지 성문제를 겪게 된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는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간의 갈등이 심해진다. 스스로 설정한 높은 기준을 가진 이상적인 자기 모습과 호르몬이 왕성한 분비에 따른 강한 성충동을 지닌 자신 간의 큰 괴리감을 느끼면서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이 좌절감이 클수록 스트레스가 커지고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2) 가정 기능의 악화 김상원(1999)은 청소년 성문제를 유발하는 가정.. 2025. 9. 22.
성문제_1 7장. 성문제 청소년기는 심리적 신체적 변화가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건강한 성의식의 발달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은 신체적 변화나 가치에 대한 확립이 완전히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성의식 발달 과정에서 열등감이나 정서적 혼란을 경험하거나 다양한 성에 관한 고민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청소년은 부정적 성인식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단편적으로 행위로 성을 인식하거나, 남학생이 더 성에 대해 긍정적이고 개방적인 의식을 갖고(구승희, 이호, 심지원, 2001), 성문화 또한 청소년만의 특징이 나타난다.1. 청소년 성문제의 정의 청소년 성문제는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의식적 · 행위적 측면에서의 규칙이나 규범을 위반한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김진화 외, 2002). 청소년 성문제는 성일탈과 비슷하게 사.. 2025. 9. 18.
가출_3 6장. 가출4. 청소년 가출 예방과 대처1) 가출 생활 전환 영향 요인 아우어스발트와 에어(2002)는 집 없는 청소년 2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집 없는 청소년의 생활주기 모델을 제시하였다. 집 없는 청소년은 [그림6-1]과같이 주류, 거리 생활 시작, 입문, 유지, 불균형, 이탈, 반복이라는 7단계 과정을 거친다. 첫 번째 단계, 가출청소년이 거리에서 이방인이라는 심각한 심리적 감정과 기본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절박함에 직면해 고통을 받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 거리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 다시 집으로 복귀하거나 사회체계에 도움을 요청하는 등 거리 생활을 벗어나려고 노력한다. 세 번째 단계, 거리에 남게 된 청소년이 거리에서 만난 사람, 즉 거리의 멘토에 .. 2025.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