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8장. 인터넷 중독
4. 인터넷 중독의 평가
인터넷 중독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 중 최근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이 개발한 표준화된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K-척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 척도는 유아용(관찰자용), 청소년용, 성인용이 있다. 유아용은 관찰자용이며, 청소년용과 성인용은 자기보고식과 관찰자용이 있다. 각각 15개 문항구성, 모두 4점 척도, 총점범위는 20~80점이다. 하위요인의 구성과 문항 수는 일상생활장애 5문항, 가상세계지향 2문항, 금단 4문항, 내성 4문항이다. 청소년 관찰자 진단에서는 대상은 초등학교 고학년 및 중 · 고등학생에 대한 관찰자(상담자, 교사, 학부모 등)이고, 하위요인별 문항수는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구성과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