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154

인지 능력_Ⅰ 지능 지능은 심리학에서 정의하기가 어려운 개념 중 하나이다. "지능은 사람이 목적에 맞게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율적으로 다를 수 있게 해주는 집합적이고 총체적인 역량이다." (Wechsler, 1939). 다시 말해서 지능은 다양한 인지 과정의 효율성에 대한 가시적 지표이며, 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해 뒤에서 협력하여 작업한다(Nisbett, Aromson, Blair, et al., 2012). 지능과 같은 능력을 측정하는 심리학 분야를 심리측정학이라고 한다.  전체 지능의 연령적 변화 연령에 따른 IQ 점수는 감소하는 것일까?성인 지능의 유지 및 감소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IQ 감소는 성인 초기부터 일어나기 시작하며, 그 후 감소가 꾸준히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연.. 2024. 12. 26.
건강과 건강장애_Ⅱ 정신장애 대부분의 정신건강 장애는 보통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에 발병한다. 이들은 보다 만성적인 질환과 장애를 가지고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고, 만성 신체장애를 가진 사람보다 일찍 사망한다. 그리고 한 개인이 특정 장애를 가진 시점에서부터 치료를 찾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중앙치가 기분 장애 중 어떤 유형의 경우 8년, 불안장애 중 어떤 유형은 23년까지 걸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전혀 치료받지 않는 사람의 비율이 상당하다는 결과이다(Wang, Berglund, Olfson, et al., 2005).  정신장애 유병률을 보면, 대부분의 정신장애는 성인 초기에서 중년기로 가면서 증가했다가 차츰 감소하여 60세 이상에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Kessler, Berglund, Demler, et al.,.. 2024. 12. 24.
건강과 건강장애_Ⅰ 질병은 성인 삶의 일부이고, 오래 살수록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게 될 확률은 더 높다.  사망률과 사망 원인 사망률은 연령과 함께 증가하는데, 특히 60세 이후에 그러하다. 사망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른데, 사고, 타살, 자살은 성인 진입기의 사망 원인 목록에, 심장병과 암은 노인의 사망 원인 목록에 나타난다.  미국의 연령에 따른 주요 사망 원인순위15~24세25~44세45~64세65세 이상1사고사고암심장 질환2타살암심장질환암3자살심장질환사고하기도 장애4암자살하기도 장애뇌졸중5심장질환타살당뇨병알츠하이머병출처: National Center Health Statistics(2012)의 자료. 이환율, 질병 그리고 장애 2차 노화는 성인기를 거치면서 감염 같은 외부 요인 또는 특정 장기나 체계의 질병과 같은.. 2024. 12. 22.
신체적 변화_Ⅱ 신체적 행동의 변화 노인 관련 변화들 가운데 운동 능력에서의 점차적인 저하, 체력·민첩성·균형감의 감소, 수면 습관에서의 변화, 남녀 모두 성기능의 변화가 포함된다.운동 능력 어떤 스포츠이건 속도가 포함된 운동의 경우, 최고의 실력자는 그들이 10대나 20대일 때이다. 나이가 들수록 운동 능력은 저하되지만, 체력이 좋은 상태일 때 운동을 꾸준히 계속한다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운동 능력은 한발 앞서 갈 것이다. 체력, 민첩성, 균형감각 체력은 일정 시간 동안 중간 정도의 강도 또는 그 이상의 강도로 격렬한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다. 체력 상실은 근육에서의 변화만 아니라, 상당 부분은 심혈관계와 호흡계에서의 변화 때문에 생긴다.  민첩성은 손과 몸을 능숙하게 능력이다. 주로 관절 부위에 생긴 관절.. 2024. 12. 21.
신체적 변화_Ⅰ 1차 노화에 관한 주요 이론들산화적 손상 노화란 정상적인 세포 대사 동안에 방출되는 유리기에 의한 손상의 결과로 간주한다. 이 이론에 의하면, 나이가 들수록 회복력과 저항력이 저하되어 산화적 손상이 증가하는데, 바로 그 결과가 1차 노화이다.유전적 한계 유전적 한계 이론은 모든 종에게 고유의 최대 수명 기간이 있다는 관찰에 기초하고 있다. 우리가 일정 연령에 도달하게 되면 세포가 분화를 멈추도록 프로그래밍 되어있기 때문에 노화가 된다고 본다. 칼로리 제한 우리가 왜 늙는지 설명하는 가장 가능성 높은 설명 중 하나는 우리의 식단과 관련 있다. 우리가 얼마나 많이 먹는지가 아니라, 우리가 하루에 얼마의 칼로리를 소비하느냐이다. 칼로리 제한 이론은 우리의 수명은 일생 우리가 대사시키는 칼로리의 수치에 의해서 .. 2024.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