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 유형_Ⅴ
3. 부모 상담1) 부모 관계와 관련된 청소년의 호소 문제 부모는 급격하게 변한 청소년 자녀의 태도에 놀라게 되고, 지금까지의 양육 방식이 더 이상 효과가 없게 되면서 자녀 양육에 무력감을 느끼고 좌절하고 낙담한다. 청소년 자녀가 주로 호소하는 문제에는 부모님의 지나친 간섭과 개입, 다른 아이와의 차별과 비교로 인한 심리적 상처, 부모와의 거리감, 소홀, 무관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겪는 어려움, 부모의 체벌, 구타, 언어폭력 등 신체적, 정서적 학대로 인해 생기는 어려움이 있고 결손가정에서의 부적응, 부모의 무능력으로 인한 열등감, 반항, 무시 등으로 인해 생기는 심리 · 사회적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겪는 청소년은 학교 부적응, 등교 거부, 비행, 지나친 ..
2024. 11. 27.
청소년상담 유형_Ⅱ
1. 집단상담4) 집단상담 계획하기일반적으로 집단상담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Morganett, 1990; 김춘경 외, 2004). • 1단계, 진단 상담에 관련된 사람의 욕구 알아보기: 상담자는 우선 특정한 환경에 있는 내담자에게 어떤 집단 서비스가 필요한지 알아야 한다. 집단참가자의 기본욕구를 평가하는 것은 상담계획과 상담 과정, 상담 결과에 큰영향을 미친다. • 2단계, 집단상담 계획서 만들기: 무엇을 할 것인지, 그것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상세하게 기술한 집단상담 계획서를 만들어야 한다. 계획서에는 집단의 목적, 집단지도자, 시간, 장소, 절차와 기법, 횟수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들어가야 한다. 이상적인 집단상담 시간은 청소년의 경우 90~120분 동안 매주 만나는 것이다. 학교 상담사의 경..
2024.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