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7

인지발달이론_Ⅰ 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1) 인지발달 이론의 주요 개념 피아제는 인지발달을 구조주의적이고 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설명했다. 피아제에 의하면 타고난 인지구조가 상호작용을 통해 확장, 분화, 통합, 일반화되면서 사고 능력이 질적인 변화를 이룬다.인지구조를 도식 또는 세마(Schema)라고 한다. 피아제 이론은 세마가 어떻게 결합하여서 전체적으로 조직화한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지 설명했다는 점에서 구조주의적이며, 도식이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동화, 조절, 평형화 등이 생물학적인 개념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생물학적이다.  인간은 도식을 통해 주위 세계를 이해하고 경험을 해석하며 조직화한다. 인간은 많은 도식을 가지고 태어나며 타고난 도식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복잡해지고 세련되어짐으로써.. 2024. 9. 9.
청소년기의 이해와 개입_Ⅲ 3. 청소년기 부적응 문제와 개입1) 부적응 문제 청소년기의 부적응 문제는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로 분류할 수 있다. 내재화 문제는 부적응의 표현이 과잉 통제되어 소극적이고 억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우울, 불안, 섭식장애 등 정서적, 인지적 부적응 증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외현화 문제는 감정이나 행동의 적절한 통제가 결여된 부적응으로 약물중독, 비행, 학교폭력 등의 문제행동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각 유형에 속하는 부적응 문제가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경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경우 약물 중독의 문제도 함께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적응 문제를 경험하게 되면 청소년기를 행복하게 보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성인기를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를 헛.. 2024. 9. 3.
청소년기의 이해와 개입_Ⅱ 2. 청소년기의 기본적인 변화1) 신체적 변화  아동은 사춘기(puberty)가 시작되면서 청소년이 되어 간다. 신체적으로는 급격한 성장이 일어나고 이차 성징이 나타나며 몸의 변화와 외모의 변화를 경험하며 자기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또한 아동기에 비해 혼자 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고 자각하지 못했던 성적 욕구의 증가로 인해 불안감과 죄의식을 느끼기도 한다. 부모와 신체적, 심리적 거리를 두려고 하는 반면 이성 친구와의 친밀한 관계를 더 원하게 된다. 사춘기에는 정서가 이전보다 우울해지거나 변덕스러워진다. 특히 여아의 경우, 초경을 경험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우울한 정서를 더 많이 경험한다. 그 이유는 호르몬의 영향이라고 하지만 불명확하며 오히려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복합적 스트.. 2024. 9. 2.
청소년기의 이해와 개입_Ⅰ 1. 청소년기의 정의와 관점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적 시기이며, 급격한 발달적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고, 발달 부적응 문제에 대한 개입이 중요한 시기이다.1) 청소년기의 시작과 끝 청소년기는 아동기나 성인기와 구분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이는 시기다. 청소년기를 지칭하는 adolescence는 '어른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의미의 라틴어 adolescere에서 비롯되었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환적 시기지만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인 면에서 아동기나 성인기와 다른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청소년기의 독특한 발달 특성은 청소년기의 시작과 끝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한두 가지 발달 영역에서만 설명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신체적 측면에서 청소년기를 설명한다면 사춘기가 시작되면.. 2024. 8. 31.
학교상담_Ⅲ 5.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CBT : Cognitive Behavior Therapy)는 1960년대 초에 등장했다가 1980년대 상담 및 심리치료 영역에서 급속한 발달을 이루었다. 인지행동치료는 인간에 대한 관점과 심리적 문제의 발생 및 치료 과정에 대한 이론이라 할 수 있으며, 정신 분석적, 인간 중심적 접근과는 여러 측면에서 다르다. 1) 엘리스(Ellis)의 인지·정서·행동치료 인지·정서·행동치료(REBT :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는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인지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최초의 상담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인지·정서·행동치료에서는 외부 자극에 대한 개인의 반응을 매개하는 신념 체계, 즉 사고의 중요성을 강.. 2024. 8.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