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소년 상담의 이해30

청소년문제 유형별 상담_Ⅰ 1. 우울상담1) 우울의 개념과 유형 개념상 우울이라고 할 때 일반적으로 증상, 증후군, 장애의 세 가지 다른 현상을 일컬을 수 있다(Milling, 2000). 첫째, 증상을 일컫는 것으로써 슬픈 정동이 우울일 수 있으며, 둘째, 함께 나타나는 증상이나 행동의 집단인 증후군으로서 우울은 슬픈 정동만 아니라 흥미 저하, 수면 문제, 활력 상실, 주의집중의 어려움, 기타 증상을 포함하며,  셋째, 장애로서의 우울은 DSM이나 국제질병사인분류(ICD)와 같은 진단분류 체계에 포함된 특별한 증상으로 구성된 증후군으로 볼 수 있다.  청소년기 우울은 자살 가능성이나 자살 생각에 대한 강력한 예측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 청소년기에 발병한 우울증은 성인기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고, 예후가 나쁜 성인 우울증과 관련 .. 2024. 11. 30.
청소년상담 유형_Ⅵ 4. 사이버상담1) 사이버공간의 이해 "사이버(cyber)"라는 말은 1980년대 초반부터 사용되었고 '인공두뇌' 또는 '가상'이라는 개념으로 통용되고 있다. 사이버공간은 시공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를 매개로 하여 사람 간 의사소통을 가능케 하고, 이를 토대로 사이버공동체가 형성된 공간이다.  사이버공간은 익명성과 개방성이 묘하게 얽혀 있고, 기존의 삶과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인간관계 양식마저 변화시키고 우리 삶 속에 깊이 들어와 자리 잡았다. 특히 청소년에게는 주요한 활동 및 놀이공간이 되었고, 그 특징으로는 익명성, 평등성, 개방성, 문제를 통한 의사소통, 탈 억제성 등이 있다(한국교육개발원, 2000).   • 익명성 : 사이버공간에서는 이름 대신 아이디를 사용하며, 나이, .. 2024. 11. 29.
청소년상담 유형_Ⅴ 3. 부모 상담1) 부모 관계와 관련된 청소년의 호소 문제 부모는 급격하게 변한 청소년 자녀의 태도에 놀라게 되고, 지금까지의 양육 방식이 더 이상 효과가 없게 되면서 자녀 양육에 무력감을 느끼고 좌절하고 낙담한다. 청소년 자녀가 주로 호소하는 문제에는 부모님의 지나친 간섭과 개입, 다른 아이와의 차별과 비교로 인한 심리적 상처, 부모와의 거리감, 소홀, 무관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겪는 어려움, 부모의 체벌, 구타, 언어폭력 등 신체적, 정서적 학대로 인해 생기는 어려움이 있고 결손가정에서의 부적응, 부모의 무능력으로 인한 열등감, 반항, 무시 등으로 인해 생기는 심리 · 사회적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를 겪는 청소년은 학교 부적응, 등교 거부, 비행, 지나친 .. 2024. 11. 27.
청소년상담 유형_Ⅳ 2. 가족 상담2) 가족 상담모델(2) 구조적 가족 상담 미누친(Minuchin)에 의해 창시된 구조적 모델에서는 경계선, 규칙, 융통성에 주목한다. 미누친은 가족의 하위체계와 경계선을 가족의 기능을 평가하는 척도로 이용했다. 그는 가족의 다른 환경과 생활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하위체계 사이의 친밀성과 적절하면서 융통성 있는 경계선을 가진 가족을 건강한 가족으로 묘사했다. 문제를 가진 역기능적 가족은 가족구성원간에 밀착되어 있어 지나치게 친밀한 특성을 나타내거나 가족구성원 간에 관계가 경직되고 분리된 특성을 나타낸다. 대표적인 하위체계는 부부 하위체계, 부모 하위체계, 부모–자녀 하위체계, 형제 하위체계, 성 하위체계, 공통 관심 하위체계 등이 있다. 모든 하위체계는 그 역할과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역.. 2024. 11. 23.
쳥소년상담 유형_Ⅲ 2. 가족 상담1) 가족 상담의 정의와 목적 청소년을 가족의 관계 속에서, 그 가족을 지역사회의 관계 속에서 보면서 청소년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역기능적 가족체계를 건강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상담 접근방법이 가족 상담이다. 가족 상담은 가족을 유기적 관계로 이해하고 취급한다. 정신병, 신경증, 심신증, 비행과 같은 문제행동을 내담자 개인의 증상이나 문제로 보지 않고 가족 전체의 인간관계에 대한 왜곡의 표시로 보고, 가족 내의 교류 패턴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여 가족 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심리적 원조이다. 가족 상담의 정의에서 강조된 두 가지 개념은 가족관계와 가족 체계이다. 청소년 상담자가 청소년문제를 진단할 때 청소년과 가족과의 관계와 가족 체계론적 입장에서 청소년 문제를 볼 줄 알아.. 2024.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