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 유형_Ⅱ
1. 집단상담4) 집단상담 계획하기일반적으로 집단상담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Morganett, 1990; 김춘경 외, 2004). • 1단계, 진단 상담에 관련된 사람의 욕구 알아보기: 상담자는 우선 특정한 환경에 있는 내담자에게 어떤 집단 서비스가 필요한지 알아야 한다. 집단참가자의 기본욕구를 평가하는 것은 상담계획과 상담 과정, 상담 결과에 큰영향을 미친다. • 2단계, 집단상담 계획서 만들기: 무엇을 할 것인지, 그것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지 상세하게 기술한 집단상담 계획서를 만들어야 한다. 계획서에는 집단의 목적, 집단지도자, 시간, 장소, 절차와 기법, 횟수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들어가야 한다. 이상적인 집단상담 시간은 청소년의 경우 90~120분 동안 매주 만나는 것이다. 학교 상담사의 경..
2024. 11. 21.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Ⅷ
4. 상담 매체4) 연극치료 연극치료는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대처 기술과 패턴을 익히게 하고, 감정표현의 폭을 넓히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고,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연극치료는 내담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내담자가 자기 스토리를 말하고, 문제를 풀고, 감정적 정화를 하고, 내적 경험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하고, 이미지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역할과 개인 내적 감정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적극적인 접근이다. 연극치료는 역동적이고, 활동적이며, 경험적이다. 내담자의 내적 경험이 적극적으로 탐색 되고, 대인관계 기술이 고양될 수 있다. 연극치료를 통해 행동 변화, 기술 습득, 정서적 · 신체적 통합, 인간적 성장이 예방과 중재, 치료적 장면에서 성취될 수 있다...
2024. 11. 19.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Ⅶ
4. 상담 매체 청소년은 자기감정이나 생각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표현력의 한계일 수 있지만, 심리적 저항이나 방어기제의 작용으로 청소년은 상담사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발적으로 상담에 온 청소년도 언어적 상담보다는 음악, 미술, 그림, 문학, 게임 놀이를 선호한다. 청소년 상담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데, 이것은 의사소통 및 표현을 촉진하고,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증진하며, 표현 및 창의 예술활동을 통해 상담의 집중도를 높이고, 자기 인식 수준을 높이며, 예상치 못했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도와준다. 창조적인 상담 매체로는 미술, 음악, 동작, 연극, 독서, 글쓰기 치료, 이야기, 놀이, 게임, 사진..
2024. 1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