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154

의식의 세계_Ⅱ 3. 약물에 의한 의식변화 사람들이 기분전환을 위해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운다. 술이나 니코틴도 약물의 하나이며 내성과 중독 등 일반적으로 의식변화를 유발하는 마약들의 속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우리 대부분이 의식변화를 위해 약물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약물에 대한 의존이 발생하는 이유 심리적 이유: 불안한 자아 기능으로 인한 우울, 불안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특히, 약물이 주는 쾌락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고 다시 불안해지고 우울해지면 더 많은 약물에 의존하게 된다. 불안한 자아 기능은 어릴 때 정상적 발달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신분석에서는 성격 구성요소인 원초아, 자아, 초자아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서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불안이 발생하고 이것을 억제하기 위해 약물에.. 2022. 11. 21.
의식의 세계_Ⅰ 1. 의식의 의미 의식은 세 가지 자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자기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나 사물에 주의를 기울여 얻게 되는 자각 둘째, 자기 몸 안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에 대한 자각 셋째, 그러한 외적 내적 자각의 의미를 해석한 결과에 대한 자각 이러한 자각들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때 자신의 의도대로 원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다. -의식의 특징 첫째, 인간의 의식은 자신이 관심을 가진 것에만 선택적 주의를 기울인다. 예를 들어 게임에 빠지면 자신을 부르는 소리를 못 듣는데, 공연장같이 시끄러운 곳에서는 다른 사람의 말을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무엇인가를 처음 할 때는 의식의 관여를 요구, 익숙해지면 의식의 관여가 줄어들어 자동화된다. 예를 들어 운전을 배운 지 얼마 되지 않았.. 2022. 11. 13.
마음의 과학: 심리학_Ⅱ 3. 현대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어떻게 설명할까? 현대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특정한 행동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는 방식이 보편적이다. 우울증을 사례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 다섯 가지 관점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생물심리학적 관점: 우울증은 노어에페네프린 같은 세로토닌계 호르몬의 분비 조절 실패에 기인하며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세로토닌계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행동주의적 관점: 우울증은 환경에 대한 통제감의 상실로 인해 발생하며 우울행동에 대한 타인의 관심과 동정이 우울증을 지속시킨다. 행동치료 프로그램에서는 우울 행동을 지속시키는 타인의 관심과 동정을 제거하고 환경에 대한 자신의 통제감을 향상시켜 우울증을 감소시킨다. -인지적 관점: 정보를 자신의 목적에.. 2022. 11. 6.
마음의 과학: 심리학_Ⅰ 1. 심리학에 대한 오해와 진실 심리학을 공부하면 타인의 마음을 알 수 있을까? 우선 사람의 마음은 눈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행동을 관찰하여 추론할 수밖에 없는데 사람은 마음과 다르게 행동하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마음은 알아내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대뇌의 세포 활동을 연구, 사회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이 정상인과 어떻게 다른지를 연구, 인간의 행동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심리학을 공부하면 우리 삶에 어떤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 심리학은 일상생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022.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