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

교육심리학 : 교수의 기초_Ⅱ 4.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 1) 기술연구 기술연구는 한 현상에 대해 어떤 인위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기술하는 것이고, 어떤 상황이나 현상의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관찰, 검사, 면담, 설문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령, 학습장애 정도에 따라 여러 교수 방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슷한지 알아보기 위해 한 학급을 관찰하여 집단에 따라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관찰 방법을 활용해 인지발달을 기술한 피아제(Piaget) 이론은 교육심리학에서의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기술연구는 교육 상황에 관한 변인 간에 존재하는 기능 관계에 초점을 맞춰 정보를 제공하지만, 미래 사건을 예측하게 하거나 관계를 기술하지 않는다. 2) 상관연구 상관연구는 변인의 통제, .. 2024. 1. 16.
교육심리학 : 교수의 기초_Ⅰ 1. 교육심리학의 의미 교육학의 기초가 되는 교육심리학은 교육 대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잠재 능력 계발을 위해 환경요소에 내재하여 있는 심리적 요소를 연구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문제 해결을 위해 갖추고 있어야 하는 실천적 이론이다. 교육심리학의 주 영역은 인간 발달, 인지, 학습, 동기 및 상담 등이고, 배경 영역에는 발달심리학, 학습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이다. 교육심리학은 교육 현상과 실제이며, 이를 과학적으로 탐색하고, 보다 나은 교육 실제를 위해 경험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육방안을 제안한다. 2.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육심리학은 교육과정의 질과 결과의 향상을 위해 심리학 지식을 이용해서 연구하는 독자적 학문이다. 즉, 교육심리학은 훌륭한 교사와 바.. 2024. 1. 14.
스트레스와 대처_Ⅳ 5.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낙관성: 스트레스 반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항상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낙관주의자는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비관주의자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훨씬 크다. 낙관적일수록 긍정적 감정과 행복을 더 느끼고, 부정적 사건을 경험하게 되더라도 더 쉽게 회복하는 회복탄력성을 보인다. 낙관주의자는 스트레스를 대처할 때 해결책을 찾고 실행하는 문제–중심 대처를 보이고 타인의 충고나 도움과 같은 사회적 지지도 요청한다(Scheier & Carver, 2003). 비관주의자는 목표를 쉽게 포기하고 스트레스 자체를 부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강인성: 정신적으로 강인한 사람은 스트레스에 압도당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Kobasa, 1979). 정신적으로 강인한 사람은.. 2024. 1. 13.
스트레스와 대처_Ⅲ 3.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1) 신체적 반응으로 본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신체에 어떤 변화를 유발하는지 가장 잘 설명한 이론은 일반적응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GAS)(Selye, 1976) 이론이다. 셀리에는 스트레스 유형은 다양하지만 생리적 반응은 서로 유사하며 스트레스 적응이 장기화되면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일반적응증후군에 따르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경고, 저항, 소진의 세 단계로 진행된다. 경고단계: 스트레스가 처음 유발되었을 때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신체를 방어한다. 우리 신체는 스트레스 자극으로 인해 유기체가 일시적으로 위축되는 시기인 초기 충격기(shock stage)와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투쟁–도피반응이 일어나는 시기인 후기 .. 2024. 1. 12.
스트레스와 대처_Ⅱ 2)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심리적 요인 (1) 지각된 통제감 심한 스트레스라고 해도 그것을 잘 다룰 수 있다고 생각하면 큰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 수 있는데 이것이 지각된 통제감이다.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대표적 요인인 소음은 예측하거나 통제할 수 없을 때 더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시끄러운 방 안에서 문제를 풀도록 한 상황에서 버튼을 누르면 소음을 중단할 수 있다고 지시 받은 참가자는 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이런 지시를 받지 못한 참가자는 문제를 푸는데 큰 장애를 주었다(Glass & Singer, 1972). 이 결과 스트레스의 영향은 그것을 우리가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2) 비합리적 신념 우리 주위에는 조금만 생각을 바꾸면 행복할 수 있는데 끊임없이 자신을 .. 2024.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