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심리의 이해

청소년 발달과 맥락_Ⅱ

by 빛글.S 2024. 10. 5.
반응형

2. 가족

1) 청소년기와 관련된 가족관계이론

 가족 맥락은 개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로 다른 맥락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시간적 차원에 따라 변화한다. 가족은 가치와 규범을 형성하는 최초의 집단이며, 청소년은 가족관계를 통해 사회화를 경험한다. 가족은 일차적이고 폐쇄적인 공동사회집단으로 형식적 집단이나 가족관계는 비형식적이며 비제도적인 특성을 지닌다. 청소년기의 가족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가족발달이론과 가족체계이론을 알아보자. 

 가족발달이론은 가족생활주기 단계에 내포되어 있는 정상적이고 전형적인 사건에 중점을 두면서 가족 발달을 사건의 선형적 진행으로 본다. 듀발(Duvall)과 힐(Hill)은 1940년대에 가족생활주기라는 개념을 제안하면서 가족 발달은 불변적 순서로 진행되는 8단계로 구성한다고 했다. 자녀의 연령을 기초로, 결혼한 부부만 있는 가족(1단계), 자녀 출산기에 있는 가족(2단계), 학령전기 아동이 있는 가족(3단계), 학령기 아동이 있는 가족(4단계),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5단계), 성장한 자녀가 출가한 가족(6단계), 중년기 부부 가족(7단계), 노년기 부부 가족(8단계)으로 제시했다.

 카터와 맥골드릭(Cater & McGoldrick, 1980)은 가족생활주기를 6단계로 구분하여, 원가족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또는 독신 단계(1단계), 결혼을 통해 새로운 체계에 헌신하는 결혼 적응 단계(2단계), 가족체계 안으로 새 가족원을 수용하는 자녀 아동기 단계(3단계), 청소년 자녀의 독립욕구와 조부모의 노쇠함을 고려하여 가족경계가 유연해져야 하는 자녀 청소년기 단계(4단계), 가족원이 가족 체계 밖으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것을 수용하는 자녀 독립단계(5단계), 세대 간의 역할변화를 수용하는 노년기 단계(6단계)로 구분했다. 카터와 맥골드릭의 단계 중 4단계에 해당하는 자녀 청소년기 단계에서는 부모와 청소년 간의 관계가 변화되므로 가족 경계가 유연해져야 하며, 부부는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자기 결혼 및 직업적성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노년기에 접어든 가족원을 돌보는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한다. 청소년 자녀와 나이 든 부모를 둔 부부는 여러 역할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샌드위치 세대는 '중간에 끼인' 경험을 의미하며, 다세대의 가족구성원을 돌보는 책임을 묘사한다. 

 가족발달이론은 단계를 통해 가족관계의 연속성 및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해, 가족체계이론은 전체에 근거하여 가족을 이해하며, 순환론적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원이 상호연결되었다고 본다. 가족을 하나의 단위 체계로 가정하는 순환 모델에서는 가족 응집성과 가족 적응성을 기본 차원으로 설정하며, 가족 의사소통을 촉진적 역할을 하는 제3의 차원으로 규정한다. 순환 모델에서 응집성이란 가족구성원이 서로에게 갖는 정서적 결속을 의미하며, 가족 적응성이란 체계가 상황적 또는 발달적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권력구조, 역할 관계, 관련 규칙을 변화시키는 능력을 의미한다. 응집성과 적응성은 4수준에 걸친 범위를 나타내는데, 응집성의 경우 극단적 유리, 분리, 연결, 밀착 수준으로 구분되며, 적응성은 경직, 조직적, 융통적, 혼란 수준으로 구분된다. 

 청소년기의 가족 체계는 응집성과 적응성의 수준을 변화시키게 된다. 가령, 자녀가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자율성을 주장하게 되고, 어머니는 양육 부담에서 벗어나 직장생활을 시작하면서 가정 내 응집성이 낮아질 수 있다. 적응성 또한 조직적 수준에서 융통적 수준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부부간 권력구조가 공유형태로 변화되면서 역할과 규칙이 재정의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순환 모델에서 중간 수준에 해당하는 균형 가족은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데, 양극단에 위치한 가족은 역기능적이라고 볼 수 있다. 가족 의사소통은 응집성 차원과 적응성 차원을 변화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는데, 균형 가족은 극단에 위치한 가족보다 긍정적 의사소통을 하는 경향이 있다. 긍정적 의사소통은 분명하고 적합한 메시지와 공감을 보이며 효과적 문제해결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런 의사소통은 가족구성원으로 하여금 변화 욕구와 선호도를 공유하게 한다. 반면, 부정적 의사소통은 부적합하거나 모순된 이중 메시지를 포함하며 공감이 부족하고 문제해결 능력이 결여되어 있는데, 이런 의사소통은 가족구성원으로 하여금 감정을 공유하기 어렵게 만들고 적응성을 감소시킨다.

반응형

'청소년 심리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발달과 맥락_Ⅳ  (6) 2024.10.06
청소년 발달과 맥락_Ⅲ  (8) 2024.10.06
청소년 발달과 맥락_Ⅰ  (15) 2024.10.04
청소년기 발달적 특징_Ⅵ  (16) 2024.10.04
청소년기 발달적 특징_Ⅴ  (6)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