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7

인간의 발달_Ⅳ 3. 아동기의 발달 아동기는 만 6~7세부터 12세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 아동은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고 집단생활에서의 규칙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사회생활의 기본을 익히게 된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조금씩 벗어나며 친구들과 또래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1) 인지능력의 발달 피아제는 인지능력의 발달이 환경 자극에 대한 자기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도식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동화와 조절을 통해 일어난다고 보았다. 동화란 자기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고, 조절은 기존의 도식과 맞지 않는 새로운 정보가 누적되어 도식이 변화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네 발을 가지고 있는 동물은 개다"라는 도식을 알게 되었을 때 고양이를 처음 봤다면 도식에 맞추어 "개.. 2023. 6. 25.
인간의 발달 _Ⅲ 2) 사회성 발달과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양육 태도는 영유아기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형성된 사회성은 성장한 후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봄린드(Baumrind, 1971)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재적 유형, 권위적 유형, 허용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양육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독재적 부모는 자녀에게 냉정하고 자기가 정한 행동 기준을 강요하고 따르지 않으면 처벌하고 이런 부모의 자녀는 불만이 많고 위축되어 있고 불신감이 크다. 권위적 부모는 자기 가치관에 따라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지만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에 익숙하다. 또 일관성 있고 자녀의 의견과 흥미를 존중한다. 이런 부모의 자녀는 자기가 사랑받고 있음을 알고 안정감을 느낀다... 2023. 6. 7.
인간의 발달_Ⅱ 2.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아기는 사람 목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쳐다보기도 하고 표정을 흉내 내는 경향도 보인다. 이렇듯 아기는 사회적 반응에 민감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애착과 사회규범과 관련된 도덕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알아보자. 1) 애착의 형성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존재는 엄마이다. 엄마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신체적 심리적 만족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아기는 생후 6개월쯤 엄마에게 강한 유대감을 갖게 되고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는 애착이 발달하게 된다. 정서적 변화를 애착이라고 하는데 이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1) 애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애착은 아기가 생애 처음.. 2023. 5. 18.
인간의 발달_Ⅰ 1.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1) 반사행동 신생아가 가지고 태어나는 반사행동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찾기 반사, 빨기 반사, 모로 반사나 루밍 반사(위험한 상황에서 매달리거나 피하는 데 필요한 반사행동), 바빈스키 반사(신경계의 미성숙을 보여주는 반사행동) 등이 있다. 특히나 연령이 증가하면서 생아의 생존을 돕기 위한 반사행동은 신경세포의 수초화가 진행되어 정보전달이 빨라지고 간뇌가 아닌 운동피질이 운동을 통제하면서 수의적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2) 지각능력 생후 3일밖에 되지 않은 신생아도 엄마와 타인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으며 엄마 목소리를 더 좋아하고 들으려 한다고 한다(Decasper & Fifer, 1980). 또한 생후 18간 된 신생아도 자기 울음소리와 다른 아기의 울음소리를 구분한다는 결과도.. 2023. 5. 2.
이상행동과 치료_Ⅵ 7)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성격장애란 어릴 때부터 지닌 지속적인 행동 방식이 현실에 적응하는 데 기능적으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장애를 말한다. 성격장애로 진단받으려면 개인행동이 그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 심하게 벗어나야 하고, 행동이 고정되고 융통성이 없고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성격장애라고 할 수 있는 부류에는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 공격적인 사람, 지나치게 소극적이어서 대인 접촉이 거의 없는 사람 등 이러한 것들이 장기화되고 습관화되어 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성격장애자는 자기를 환자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평생 유지되며 문화에 따라 다르게 수용되기도 한다. DSM.. 2023.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