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학습자의 동기유발_Ⅰ

by 빛글.S 2024. 7. 20.
반응형

 학습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동기이다. 동기란 어떠하나 행동을 유발하고 그 행동을 유지하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하는 힘이다. 즉, 동기는 내적인 정신적 에너지 혹은 정신적인 힘으로서 인간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반적으로 동기화된 학생은 긍정적인 태도와 학교생활에 만족감을 보이며, 어려운 과제를 할 때 끈기 있고, 수업 중 문제행동을 덜 하고, 심도 있게 공부하며, 수업 중 과제를 다른 학생보다 더 잘한다(Stipek, 1996). 교사는 학생이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동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격려할 필요가 있다.

1. 동기유발과 유인가의 특징

 대부분의 학생이 수업 시간에 스스로 동기 유발되어 임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 그래서 때로는 교사가 학생의 동기유발을 위해 유인가(incentive)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동기유발 요인은 학생의 성장단계에 따라 달라지므로 교사는 이러한 특징을 잘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 

 

1) 유인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동기를 유발한다.

 유인가란 행동을 촉진하거나 저해시키는 대상이나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유인가가 모든 학생에게 동등하게 동기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다. 동기유발 하는 유인가라 하더라도 학생이 관심 없다면 그 유인가는 효력이 없다. 가령, 어떤 학생은 칭찬받기 위해 열심히 책을 읽지만, 어떤 학생은 돈이나 장난감을 얻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책을 읽을 수도 있다. 

 유인가의 부작용 중 하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목표에 동기를 부여하기도 한다는 점이다. 즉, 또래의 인정을 받기 위해 거친 행동을 하기도 하고 교사의 관심을 얻기 위해 거짓말을 하기도 한다. 교사는 학생에게 일상적 생활이나 어떠한 세계에서 성공할 수 있는 동기를 지니도록 해야 한다. 

 

2) 동기유발 요인은 성장단계에 따라 변한다.

 학생의 동기 문제와 욕구는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에 따라 변한다고 한다. 연구 결과, 중학교 입학과 함께 학생의 동기유발 수준이 감소하고, 흥미와 자신감, 성적도 떨어지며 시험 불안이 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또한 교사의 기대가 학습 동기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데, 중등 교사는 초등 6학년 교사보다 학생에 관해 통제와 훈육을 더 강조하고 학생을 신뢰하지 못하고, 자기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하며, 초등교사와 비교하면 학생을 편파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학생을 지원하거나 우호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적다고 한다.

 교사는 학생이 중학교에 들어갈 때 원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학생을 충분히 지원하고 항상 공평하게 대하려고 노력하며, 중학생이 사춘기에 겪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2. 동기의 일반적 영향

 동기가 사람 행동에 미치는 일반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Ormrod, 2009).

첫째, 동기는 개인 에너지와 활동 수준을 증가한다. 

둘째, 동기는 개인의 특정한 목표를 지향하도록 한다.

셋째, 동기는 활동의 추진력과 지속력을 증진한다.

넷째, 동기는 개인이 과제에 들이는 학습전략과 인지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자는 보고, 듣고, 행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사고해야 한다. 이러한 인지적 몰두는 높은 수준의 동기가 갖는 장점의 하나이다.

 그러나 모든 동기가 인간의 학습과 수행에 동일한 영향력을 갖는 것은 아니며,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는 다소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한다.

 

3.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내적 동기는 동기의 원천이 개인과 수행 과제의 내부에 있을 때 존재한다. 즉, 어떤 행동을 하려는 내적 욕구가 작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책을 자주 읽는 것은 책이 주는 새로운 정보 때문이다. 

 그러나, 외적 동기는 동기의 원천이 개인과 수행 과제의 외부에 있을 때 존재한다. 즉, 스스로 요구에 의해 하기보다는 주변인에 의존하며 외부에서 주어진 동기에 의해 행한다. 타인의 인정을 받기 위해 행동하고 집단가치를 인정하는 행동만 수행하며 공식적 목표만을 위해 움직일 뿐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책을 읽는 이유는 어머니의 관심을 받고 싶기 때문이다. 

 

1)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에 관한 연구 

 내적 동기는 학생 스스로 추진력을 가지고 행동하도록 하고, 외적 동기는 외적인 보상이나 유인가를 통해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 두 가지 동기는 서로 동시에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두 방법을 다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외적 동기는 특히 어린 학생에게 효과가 좋은데 초등교사는 이 점을 활용하여 스티커, 토큰 등의 보상 체제를 사용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해야 한다. 그러나 무조건 보상을 준다고 동기유발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학생이 성장하면서 내적 동기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또,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학과 같은 특정 교과에 대한 내적 동기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교사가 학생의 내적 동기를 발달시키지 못한다면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할 뿐 아니라 학습 능력도 발달시키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이 지닌 동기의 원천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훌륭한 교사는 학생의 내적, 외적 동기를 모두 활용해서 동기 유발을 시켜야 한다. 

내적 동기 외적 동기
- 개인의 욕구나 흥미와 같은 내적 요인에 의해 동기화된다.
- 활동하는 그 자체가 보상된다.
- 인간은 자기 능력을 발달시키고 성취를 즐기는 존재이다.
- 인지주의와 인본주의 이론가들이 주로 강조하는 동기이론이
  다.
- 보상이나 처벌, 사회적 압력과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동기화 
  된다.
- 외부의 보상을 얻기 위해 활동을 한다.
- 인간은 외부 보상이나 처벌에 의해 동기화되는 존재이다.
- 행동주의자들이 주로 강조되는 동기이론이다.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의 특징>

2) 흥미의 중요성

 교사는 흥미가 어떻게 학습에 영향을 주는지 이해하고,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지하며, 때에 따라서는 흥미를 향상하는 전략을 익혀두어야 한다. 

 수업 시간에 학생의 상황적 흥미를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Schraw, Flowerday, & Lehman, 2001).

 첫째, 학생에게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것은 학생의 자율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자기결정감을 크게 향상한다. 그러나 자기조절능력이나 지식이 부족한 학생에게는 교사가 선택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의 선택 결과에 대해 피드백을 주어야 한다. 

 둘째, 구조화가 잘된 과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체계적이고 정보가 완벽하기 때문에 흥미가 더 유발된다.

 셋째, 생생한 과제를 선택하게 한다. 과제에 풍부한 이미지, 상상, 자극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학생이 그 과제에 몰입하게 된다.

 넷째, 학생이 알고 있는 과제를 사용하게 한다. 선행지식은 학생의 흥미 수준과 학습의 깊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다섯째, 능동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격려햔다.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학생일수록 더 깊은 수중에서 정보를 처리한다.

 여섯째, 학생에게 적절한 단서를 제공해야 한다. 과제의 학습을 마무리하기 전에 관련 내용을 이해하는 것도 흥미를 돋우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외적 보상은 동기를 약화한다.

 스펜스(Spence)와 헬름라이히(Helmreich, 1983)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동기와 성취 관계에서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보다 훨씬 높은 성취를 끌어낸다고 한다. 이 내적 동기의 세 가지 측면은 숙달을 향한 욕구, 일에 대한 욕구, 경쟁심이었다. 능력이 비슷한 상태에서 숙달 지향적인 사람과 열심히 일하려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높은 성취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나치게 경쟁적인 사람은 외적 보상에 치우치는 경우가 있으며 성취 수준은 낮았다. 따라서 의미 있는 학습, 기능의 숙달, 일에 대한 욕구에 의해 동기가 유발된 사람이 지나치게 경쟁적이지 않을 때 성취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난다.

 때로는 외적 보상이 내적 보상을 저해하기도 한다.

 첫째, 과제를 완수했을 때 반드시 보상받아야 한다고 기대한다.

 둘째, 보상이 반드시 자신에게 중요한 것이어야 한다.

 셋째, 보상은 돈이나 상처럼 확실한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칭찬이나 미소와 같은 상징적 보상은 내적 동기를 저해시키지 않는다고 한다(Sternberg & Williams, 2009).

배럿(Barrett)과 Boggiano(1988)는 평균적인 부모 혹은 대학생은 일반적으로 아동에 대한 통제 전략을 선호하며, 보상 등의 외적 동기유발 방법을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외적 동기를 증진하는 방법과 보상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교사 중에서 외적 동기 유발 방법을 더 선호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인간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통제된다고 믿는 교사일수록 더 많이 사용했다. 

 

반응형

'교육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자의 동기유발_Ⅲ  (0) 2024.08.18
학습자의 동기유발_Ⅱ  (8) 2024.08.09
인지적 접근의 학습_Ⅳ  (0) 2024.07.04
인지적 접근의 학습_Ⅲ  (0) 2024.07.02
인지적 접근의 학습_Ⅱ  (0) 202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