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상담 매체
4) 연극치료
연극치료는 고립감을 감소시키고, 새로운 대처 기술과 패턴을 익히게 하고, 감정표현의 폭을 넓히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고, 관계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연극치료는 내담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내담자가 자기 스토리를 말하고, 문제를 풀고, 감정적 정화를 하고, 내적 경험의 깊이와 넓이를 확장하고, 이미지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역할과 개인 내적 감정을 관찰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적극적인 접근이다.
연극치료는 역동적이고, 활동적이며, 경험적이다. 내담자의 내적 경험이 적극적으로 탐색 되고, 대인관계 기술이 고양될 수 있다. 연극치료를 통해 행동 변화, 기술 습득, 정서적 · 신체적 통합, 인간적 성장이 예방과 중재, 치료적 장면에서 성취될 수 있다. 아직 국내에는 연극치료보다는 심리극이 더 많이 알려져 있고 많이 활용되고 있다. 심리극은 상담기법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체계적 심리치료 절차이고 이론이라 할 수 있다.
5) 놀이치료
아동 상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놀이는 최근 청소년 상담에서도 활용한다. 놀이는 놀이하는 사람의 내적 요구를 만족시켜 주고, 즐거움과 기쁨과 같은 긍정적인 느낌을 주어 삶의 활력을 되찾게 도와주고, 놀이에 몰두하게 하여 주의 집중력을 키워주며, 놀면서 자유로움과 자기 주도력과 자기결정의 경험을 하게 된다.
앰스터(Amster)는 놀이를 내담자의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놀이의 기능으로 진단적 이해 기능, 관계 형성 기능, 방어 수단 기능, 언어 촉진 기능, 무의식적 소재의 발견과 긴장의 해소 기능, 발달의 촉진 기능 등 6가지를 제시했다.
브렘(Brems, 1993)은 놀이의 기능을 관계 형성, 자기 노출, 치유 세 가지로 정리했다.
• 관계 형성 기능: 놀이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롭고 특별한 관계의 발달을 촉진해 주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자기 노출 기능: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청소년은 놀면서 자기 노출을 한다. 놀면서 내담자의 감정, 갈등, 문제, 관계의 어려움이 직접적 또는 상징적으로 재연된다. 다른 매개체를 통해서는 표현되지 못하는 다양한 정보를 상담자에게 제공해 준다. 특히 상담에 거부감이 많은 청소년에게 자기 노출의 기능은 매우 유용하다. 놀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담자가 내담자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고 내담자에게도 건전하다. 자유롭게 감정과 갈등을 표현할 기회를 가지는 것은 내담자에게 치료적이다.
• 치유 기능: 놀이를 통해 감정과 갈등이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표현되므로 내담자는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된다. 아주 단순한 놀이도 카타르시스와 정화를 촉진하여 치료의 효과를 제공한다. 자유로운 감정의 발산과 정화 능력을 지닌 놀이는 치유의 힘을 지니고 있다.
6) 독서치료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독서를 권하여 줌으로써 내담자 자신을 잘 이해하고,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독서를
통해 내담자는 자기 문제를 안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과 문제해결의 방법이 여러 가지 있을 수 있다는 사실 및 구체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알게 되고, 타인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고, 고난과 시련의 경험이 인생에 값진 교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된다.
알렉스(Alex, 1993)는 독서치료를 사용하는 이유를 개인의 자기 인식, 자기 이해, 타인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증진하는 것이라 했고,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대처방략을 제공하며, 문제 또는 어려움에 대한 감정과 생각 모두를 성공적으로 표현할수 있도록 개인을 돕기 위해서 라고 했다.
독서의 핵심 치료 요소는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이다. 청소년은 자기가 읽은 문학작품과 자신을 강하게 동일시한다. 타인의 문제를 보면서 자기 문제를 깨달을 수 있게 되고, 문제에 대한 정보가 없을 때는 그런 정보가 자신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면서 안심하게 되고 등장인물에 빗대어 자기 문제를 밖으로 꺼내 놓을 용기도 가지게 된다. 내담자가 겪고 있는 문제와 유사한 문제를 다룬 작품이면 동일시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상담자는 문학작품을 통해서 내담자의 내면세계에 자연스럽게 우회적으로 접근할 수 있고, 청소년의 경우에도 자신의 내면세계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내담자는 세상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게 된다. 상담 장면에서 활용되는 작품으로 동시, 시, 동화, 소설, 수필, 희곡 등의 문학작품과 신문과 잡지 기사, 노래가사, 그림책 등이 있다.
7) 글쓰기 치료
쓰기는 내적 갈등, 불안, 혼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고, 정보를 적어 내려가는 것은 감정을 표현하고, 종이 위에 적고, 느낌을 확인하기 위한 명확한 수단이다. 글쓰기는 개인이 자기 내부 자아를 형성하는 것을 돕고, 개인적 완성과 자기 확인에 기여하며, 정화적 감정의 이완을 제공함으로써 지각을 강화한다(Brand, 1987).
프로고프(Progoff, 1978)는 내담자와 함께 심리 공책을 만들면서 내담자의 심리 성장과 정서적 안녕감에 큰 효과가 있음을 보고했다. 글쓰기는 질병의 감소만 아니라, 정서적 갈등 유화, 자기 인식 양성, 행동 조절, 문제해결, 불안 감소, 현실지향 원조, 자긍심 증대 등의 심리적 효능을 가지고 있다.
글쓰기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글쓰기를 통해 의식이 확장되고 통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기성찰,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 구축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
글쓰기 치료에서 많이 쓰는 기법으로는 자유로운 글쓰기, 꿈, 내면의 현인과의 대화, 시 쓰기, 스피링보드, 관점 변화, 동료 대화, 대화 쓰기, 인물 묘사, 보내지 않는 편지 쓰기, 순간 포착, 알파벳 시, 백 가지 목록, 협력 글쓰기, 5분간 전력 글쓰기 등이 있다.
'청소년 상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상담 유형_Ⅱ (2) | 2024.11.21 |
---|---|
청소년상담 유형_Ⅰ (4) | 2024.11.20 |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Ⅶ (6) | 2024.11.18 |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Ⅵ (0) | 2024.11.17 |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Ⅴ (4)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