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소년 상담의 이해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Ⅰ

by 빛글.S 2024. 11. 12.
반응형

1. 상담 전 과정

1) 접수 면접

 접수 면접은 정식 상담 전 내담자 또는 내담자 부모를 만나서 내담자의 문제와 관련된 구체적 정보를 얻기 위해 진행되는 과정이다. 접수 면접은 부모 중 1명, 부모 모두, 내담자 혼자, 부모와 청소년 내담자, 내담자와 가족 모두, 내담자와 교사 등 다양한 구성원의 조합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접수 면접은 1회 또는 회기에 걸쳐 진행된다. 모든 상담 과정이 중요하지만, 초기 접수 면접도 다음 진행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기 때문에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다. 

 접수 면접 시 파악해야 할 주요한 정보는 성별, 생년월일, 주소, 연락처, 종교, 신체 및 정신적 질병 내력, 현재 투약 중인 약물, 신체적 장애, 이전 상담 경험, 상담 신청경로 등 내담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파악하고, 내담자의 호소 문제, 상담받으러 온 이유, 목적, 배경, 호소 문제가 발생한 시기, 상황적 혹은 생물학적 배경, 문제가 발전된 경로, 현재의 상태와 심각성, 문제와 관련된 대인 관계적 · 학업적 어려움과 변화, 내담자의 최근 심리적 · 신체적 · 환경적 기능 상태, 학교생활 등을 파악해야 한다.

 접수 면접 시 상담자는 상담이 무엇이고, 어떤 절차를 거쳐 진행되는지, 상담을 통해 무엇을 얻게 되는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등을 알려주어야 한다. 내담자가 상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있어야 상담에 대한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상담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상담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2) 심리검사

 초기 면접 과정에서 내담 청소년이 보이는 문제의 상태와 원인, 현재의 심리상태를 빨리 발견하기 위해서 심리검사를 실시한다. 심리검사 결과는 상담의 개념화와 목적설정, 계획 등에 활용한다. 

심리검사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청소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위해 인지 평가, 성격검사, 신경 심리검사, 부모 성격검사 등이 모두 포함된 검사 총집을 실시한다. 그러나 검사의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필요하지 않으면 검사 총집을 할 필요가 없다. 

 검사의 선정 기준은 내담자가 지닌 문제와의 관련성이다. 그리고 검사 목적이 명확하고, 상담 목적이 구체적으로 세워지면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고 표준화된 검사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심리검사의 실용성도 중요한데, 가능하면 검사 시행과 채점이 간편하며 시행 시간도 적절하고 검사 비용도 부담되지 않는 검사를 선정해야 한다.

 심리검사에는 측정되는 내용과 검사 제작 방법에 따라 주관적인 투사검사와 객관적 검사가 있다. 투사검사는 제한 없는 자유로운 반응으로 피검자의 심리적 특성과 독특성을 측정하기에 적절하다. 객관적 검사는 개인의 독특성보다 개인마다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이나 차원을 기준으로 하여 개인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려는 목적을 지닌 구조화되고 규준에 기초한 검사라 할 수 있다. 투사검사와 객관적 검사 모두 표준화된 검사이며 일정한 표준절차를 따른다. 그러나 투사검사는 비구조적 검사라는 특징 때문에 투사적 기법이라고도 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어 있는 검사 종류에는 행동평가척도, 지능검사, 학습검사, 적성검사, 진로 검사, 성격검사 등이 있다. 

 

지능검사: 웩슬러 지능검사로 만 6~16세 11개월까지 적용되는 K-WISC-IV와 만 16세 0개월~69세 11개월까지 적용되는 K-WAIS-IV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만 12세 5개월까지의 청소년에게 사용할 수 있는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도 있다.

학습 관련 검사: 김아영(2013)의 학습 동기 검사(AMT), 조봉환과 임경희(2003)의 학습 흥미검사, 김동일(2004)의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ALSA), 변영계와 김석우(2006)의 학습 기술 진단검사(LST), 김성현(2009)의 학습 집중력검사, 송인섭(2010)의 자기주도학습 증진 방법 검사(S-RLT) 등이 있다.

진로 검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이 개발한 진로 성숙도 검사, 한국가이던스(1996; 2012)에서 개발한 홀랜드 진로 발달검사, 안창규(1996)의 진로탐색검사(SDS), 이형국(2009)의 진로 신념 검사(CBI), 이재창, 최인화, 박미진(2003)의 진로사고 검사(CTI), 진로 미결정검사(CDS) 등이 있다.

직업 관련 검사: 스트롱(Strong, 1927)이 개발한 스트롱 흥미검사(SVIB), 발파(Valpar)가 개발한 발파 흥미검사, 스트롱과 캠벨(Campbell, 1985)이 개발한 스트롱–캠벨 직업흥미검사 등이 있다.

성격검사: 미국 미네소타 대학병원에서 개발한 다면적 인성 검사(MMPI-2), 정(Jung)의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격유형검사 MBTI,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정, 홍상황(2007)이 우리나라에서 표준화한 청소년용 성격 평가질문지(PAI-A)등이 있다.

투사검사: 허먼 로르샤흐(Herman Rorschach, 1921)가 개발한 로르샤흐 검사, 머레이(Murray)의 이론에 근거하여 모르간(Morgan)과 머레이가 개발한 주제통각검사(TAT), 샥스(Sacks)의 문장완성검사(SCT), 라우리타 벤더(Lauretta Bender)가 개발한 벤더게슈탈트 검사(BGT)등이 있다.

 

이 외에도 상담자는 아동 및 청소년, 성인을 공통으로 진단하는 DSM-5의 진단 용어에 익숙해야 한다.  

 

3) 사례 개념화

 사례 개념화는 접수 면접, 심리검사, 관찰 등을 통해서 얻은 내담자 관련 자료를 정리하고 체계화하여 상담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사례 개념화에는 내담 청소년의 현재 문제 및 기능 수준과 문제의 원인, 현재 문제를 지속시키거나 촉진 또는 강화하는 요인들, 상담 목표, 상담계획 등이 포함된다.

 

반응형

'청소년 상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Ⅲ  (6) 2024.11.14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Ⅱ  (3) 2024.11.13
청소년 상담이론_Ⅵ  (8) 2024.11.11
청소년 상담이론_Ⅴ  (6) 2024.11.10
청소년 상담이론_Ⅳ  (6) 2024.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