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집단과 개인Ⅲ

by 빛글.S 2023. 11. 18.
반응형

3. 집단 속에서 일어나는 대인지각

1) 타인에 대한 인상의 형성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우리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또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머릿속으로 생각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이 인상 형성이다. 사람들은 만난 시간이 짧거나 상대에 대해 아는 게 별로 없어도 전반적 인상 형성은 빨리하며 이렇게 형성된 인상은 잘 변하지 않는다(Hamilton, 1981).

 

(1) 인상형성에 사용되는 정보

 사람들은 어떻게 상대의 인상 형성을 하는 것일까?

평소에 가지고 있는 도식으로 상대를 판단할 때 적용한다. 타인의 외모나 행동 같은 단편적 정보에 근거하여 타인을 판단하는 도식을 가지고 있다. 

 도식 중 대표적인 것이 고정관념이다. 고정관념은 어떤 사람의 특성을 비슷한 특징을 가진 사람들에게 일반화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고정관념에는 성 고정관념뿐 아니라 외모나 행동, 인종, 직업에 관한 고정관념도 존재한다. 

 도식에는 어떤 사람의 한 가지 특징만을 보고 전반적 성격을 파악하려고 하는 내현적 성격 이론(implicit personality theory)도 있다. 이는 과거 경험이나 주변에서 들은 성격특성 간의 관계에 대한 믿음 때문이다. 고정관념이나 내현적 성격이론은 낯선 이를 만났을 때 빠르게 상대에 대한 인상을 형성하도록 도움을 주지만 개인의 다양성을 무시하도록 유도하여 부정확한 인상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상 형성에서 타인이 가진 다양한 특징을 무시하고 몇 가지 기준으로 단순화하여 판단하려는 경향이 있다. 

 

(2) 인상정보의 통합

처음 상대를 만났을 때 얻었던 인상 정보들은 첫인상에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통합되어 대략적인 첫인상을 형성하게 된다. 가령, 우리가 "철수"를 처음 만났을 때 "철수는 다정하고, 적극적이고, 얼굴이 크고, 옷을 잘 입는 사람"으로 첫인상을 가지는 게 아니라 "철수는 호감 가는 사람"이라고 전반적인 첫인상을 가진다. 그렇다면 인상 정보는 어떻게 통합될까?

 인상 정보가 통합되는 방식은 가산모형과 평균 모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Anderson, 1965).

가산모형은 상대에 대해 받은 인상의 값들이 단순하게 더해져서 그 총합이 상대에 대한 통합된 인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평균모형은 상대에 대해 받은 인상의 값들이 더해진 후에 더해진 숫자로 나뉘어 그 평균치가 상대에 대한 통합된 인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상 값의 범위를 '아주 좋다 : +5'에서 '아주 싫다 : -5' 있다고 하고, '다정하다 : +5', '적극적이다 : +3', '얼굴이 크다 : -2', '옷 잘 입는다 : +2'라고 가정할 때 가산모형에 의하면 "철수"의 통합된 인상은 "(+5)+(+3)+(-2)+(+2)=(+8)"라고 할 수 있고 평균 모형에 의하면 "철수"의 통합된 인상은 "(+8)/4=(+2)"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산모형보다 평균 모형이 첫인상의 통합을 더 잘 설명한다고 하지만, 평균 모형도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평균 모형에서는 인상 정보가 통합될 때 모든 인상 정보가 동일한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만 중심 특질이 첫인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상대에 대해 어떤 인상을 먼저 경험했느냐에 따라 첫인상이 달라질 수 있다. 중심 특질은 상대에 대해 느낀 정서적 특성과 같은 것으로 "차갑다"고 소개된 사람보다 "따뜻하다"고 소개된 사람과 더 많은 대화를 갖는 경향이 있다. 또한 먼저 알게 된 성격특성이 나중에 알게 된 성격특성에 비해 인상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첫인상에는 중심 특질이나 인상 정보의 제시순서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기 위해 성격특성에 더 가중치를 부여하여 인상 형성을 설명하는 가중평균이론(Anderson, 1971)이 제안되었다.

 

(3) 인상을 왜곡시키는 요인

 타인에 대한 인상을 왜곡시키는 인지적 특성은 어떤 것이 있을까?

첫째, 인지적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사람에 대해 좋은 인상을 형성하고 나면 조금 모순된 경우를 험하더라도 그것을 무시하거나 그에 대한 중요성을 낮추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을 후광효과라고 한다. 가령, 어떤 사람의 출중한 외모적 매력 때문에 긍정적 평가를 하고 나면 그와 상관없는 지적 능력, 성격적 특성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타인에 대한 가능한 긍정적으로 바라보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긍정성 편향이라고 한다. 즉,  처음 보는 낯선 사람도 만나면 의심하거나 주의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바라보려고 한다. 또, 처음 형성했던 인상이 변화할 때 그것보다 더 호의적으로 변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어떤 사람에게 긍정적 특성과 부정적 특성이 발견된다면 부정적 특성에 더 주의를 기울이며 이것을 부정성 효과라고 한다. 가령, 상대가 마음이 착하고 똑똑한데 약속 시간에 자주 늦는다면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다는 것에 더 주목하는 경향을 보인다. 부정적인 정보는 긍정적인 정보에 비해 더 눈에 띄고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넷째, 상대가 자신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가정된 유사성이라고 한다. 상대를 자신과 유사하게 보는 이유는 사람이 누군가를 이해할 때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을 적용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가령, "성실함"을 중시하는 사람의 경우 "낭만적이고 활동적인" 사람을 정확히 이해하기 어렵고 실제보다 나쁘게 평가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2) 집단 속에서 행동의 원인 찾기

(1) 행동의 원인 찾기: 귀인

 심리학에서 행동의 원인을 찾는 과정을 귀인이라고 하는데 그 원인을 환경이나 타인 또는 운에서 찾는 것을 외부 귀인이라고 하고 성격이나 능력 또는 태도에서 찾는 것을 내부 귀인이라고 한다. 비교문화 연구에 의하면 동양인은 자기가 잘못했거나 잘한 행동의 이유를 상황에서 찾는 경향을 보이는 데 비해 서양인은 자기의 성격이나 능력에서 그 이유를 찾는 경향이 보인다. 이것은 문화적 요인이 귀인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Miller, 1984). 

 사람들은 행동의 원인을 어떻게 찾을까?

공변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이 귀인을 할 때 독특성, 합치성, 연속성 차원 간의 공변관계에 주목한다고 한다(Kelley, 1967). 예를 들어, 어떤 영화를 보고 온 친구가 "그 영화 정말 명화야! 한 번 꼭 봐!"라고 했다면 그 영화가 잘 만들어진 영화인지 아니면 그 영화를 보고 온 친구가 영화 보는 수준이 낮은 건지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공변이론에 따르면 그 친구가 그 영화에 대해서만 유달리 그런 말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독특성 정보, 그 영화를 본 다른 사람들도 똑같은 말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합의성 정보, 그 친구가 계속 그 영화를 좋다고 말하는지를 나타내는 일관성 정보를 고려한다. 만약 독특성, 합의성, 일관성이 모두 높다고 판단 된다면 그 친구가 말한대로 그 영화가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그 친구의 수준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공변이론에서는 사람은 주변 정보나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논리적 결정을 내리는 존재로 가정하지만 실제로는 객관적 정보를 고려하기보다 자기의 고정관념에 의해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더 많다. 

 

(2) 귀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오류

 사람들은 귀인 과정에서 나름 논리적인 결론을 내리려고 하지만 몇 가지 근본적 오류에 빠지기 쉽다. 

첫째, 사람은 누구나 타인의 행동을 평가할 때 상황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성격이나 능력과 같은 개인적 특징의 영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것을 근본 귀인 오류라고 한다. 가령, 어렵게 사는 사람들을 판단할 때 사람들은 그 사람이 처해 있는 상황을 이해하기보다 술을 자주 마신다든지 게으르다는 것 같은 특정한 개인적 특징을 더 중요시한다.

둘째, 관찰자는 행위자의 행동에 대해 그 사람이 가진 능력이나 성격에서 원인을 찾지만 행위자는 행동의 원인을 주변 상황에서 찾으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을 행위자 –관찰자 차이라고 부른다. 이런 오류가 발생하는 가장 주된 원인은 행위자와 관찰자가 지각하는 초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셋째, 사람은 누구나 자기의 성공은 자기 능력이나 노력에서 원인을 찾는 데 비해 실패는 주변 상황이나 운에서 원인을 찾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을 이기적 귀인이라고 한다. 이기적 귀인은 자존심이 강할수록 더 잘 일어나며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더 많이 관찰된다. 

 우리 사회는 자신의 성공을 타인의 덕으로 돌리는 겸양적 귀인을 더 바람직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김진국, 1986)

이기적 귀인을 하는 사람에 대한 인상 평가를 하도록 하면 능력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성품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Skowronski & Carlston, 1989).

반응형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와 대처_Ⅰ  (2) 2024.01.10
집단과 개인Ⅳ  (0) 2024.01.02
집단과 개인_Ⅱ  (0) 2023.11.16
집단과 개인_Ⅰ  (0) 2023.09.26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Ⅳ  (0) 2023.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