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인간의 발달_Ⅴ

by 빛글.S 2023. 7. 11.
반응형

4. 청소년기의 발달

청소년들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독립된 인격체를 형성하고 사회인으로서 자립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가 청소년기이다.

 

1) 인지적 특징

 가설을 통해 문제해결, 어떤 상황에 대한 언어적 진술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하는 형식적 조작단계가 청소년기에는 시작된다. 청소년은 유연하게 사고하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능력은 현재 직접 경험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넘어 죽음, 자유, 종교, 이념, 인류의 미래 등과 같은 추상적 문제들에 대해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Jaffe,1998). 그리고, 성격이나 행동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정체감을 가질 수 있게 되고 타인의 감정이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어 갈등이 줄어들게 된다. 또 의사결정을 내릴 때도 다양한 대안과 그에 대한 결과를 고려할 수 있게 되어 더 효과적인 대안을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불편한 현실에 대해 불만이 발생하게 되고 기성세대에 책임을 전가함에 따라 부모나 사회와 갈등을 빚게 될 수도 있다. 이런 이상적 사고는 형식적 사고능력의 결과이며 세대 차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송길연, 2012).

 청소년기의 인지적 특성으로 새로운 형태의 자기중심성이 나타난다. 

타인이 자기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으로 인해 외모에 지나치게 관심을 보이고 외모에 불만을 갖기도 한다. 또한 이들은 자기를 매우 특별한 존재라 생각하기도 하고 타인에게 일어나는 사고나 죽음은 자신에게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피임하지 않고 성관계를 하거나 위험하고 무모한 행동을 하려고 한다.

 

2) 사회적 특징

 청소년들의 인지적 능력의 발달에 따라 타인의 관점으로 자신을 보게 됨으로써 정체성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Erikson, 1963). 이 시기 정체성 문제는 사회적 발달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며 청소년기에 정체감이 획득된다면 성인기의 역할수행이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청소년기에 정체성 발달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사춘기 동안의 급격한 신체 변화와 성적 성숙을 들 수 있다. 

둘째,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과도기로서, 신체적으로는 성인과 비슷하게 성장해 있지만 정서 및 경제적으로는 미성숙하고 무능력하기에 부모에 의존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자기 위치와 역할 규정이라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셋째, 스스로가 여러 문제를 선택해야 하는 시기이다. 가령, 진학과 전공 선택 문제, 교우 관계, 이성 관계 등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들이 주요 요인이 된다.

넷째, 이 시기 동안 이루어지는 높은 수준의 인지능력 발달도 주요 요인이 된다. 왜냐하면 인지능력 발달은 자신의 위치, 역할, 능력, 과거 모습, 미래모습 등의 문제를 검토·탐구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아 정체감은 많은 정신적 고통과 혼란을 수반하며 어떤 경우는 나이가 들어서도 정체감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마샤(Marcia, 1976)는 성숙한 정체감 획득을 위한 두 가지 요인으로 위기(crisis)와 헌신(commitment)이 있다고 했다. 

위기는 자기가 취할 수 있는 여러 대안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탐색하는 기간 또는 시기를 말하며, 헌신은 자기가 선택한 것에 대해 각 개인이 노력을 투자한 정도를 말한다. 개인이 위기의 과정을 거쳐 직업이나 가치관 또는 이념에 헌신하게 되었을 때, 성숙한 정체감을 획득한다고 본다. 여기서 마샤는 정체감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아직 정체성 위기를 경험하거나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정체감 혼란, 극심한 위기를 경험하고 있으면서 아직 아무 결정을 내리지 못했거나 아주 막연하게 방향을 찾기 시작한 상태를 의미하는 정체감 유예, 위기를 경험하지 않은 채 결정을 내리는 상태를 말하는 정체감 유실, 마지막으로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며 확고한 신념 체계를 확립한 정체감 성취로 구분된다.

 정체감 유실상태의 청소년들은 직업 선택이나 자기 신념 확립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부모나 주위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가치와 기대를 무조건 수용하고 채택한다. 그러므로 심리 사회적 유예기간을 경험한 적도 없고 정체감의 정상적인 발달을 방해하게 된다.

정체성 유예상태의 청소년들은 다양한 역할 실험에 몰두하여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하고 광범위한 독서와 자신의 미래에 대해 회의하기도 한다. 또 이성 교제, 결혼 문제, 종교 문제, 도덕 문제, 정치문제에 심사숙고하며 현재 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정체성 혼란 상태의 청소년들은 위기 상태에 있지도 않고 개인적 해답을 얻기 위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확고한 신념 체계도 확립하지 못하며 직업 역할 수행에 어려움도 있게 된다. 또한 과도한 자의식에 빠져 있는 경우에는 직업이나 성취 활동, 타인과의 친밀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에릭슨(Erikson, 1963)은 정체감 위기가 청소년 초기에 시작되어 15~18세 경에 해결된다고 했지만 12~24세 사이 남성의 정체성 연구 결과 18세 이전에는 대다수가 정체성 혼란이나 유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세 이후 정체감 획득이나 유예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체성을 획득함이 그리 쉽지 않음을 나타낸다(Kroger, 2005).

이 결과 10대 후반까지는 처한 환경과 연관되어 있고 새로운 역할의 시도 기회가 많지 않아 자존감도 떨어지고 우울함도 증가하지만, 20대가 되어 대학에 가거나 직장생활을 하게 되면서 자기상도 회복하고 정체감도 분명해지게 된다(Twenge & Campbell, 2001). 

반응형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Ⅱ  (0) 2023.07.29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Ⅰ  (0) 2023.07.19
인간의 발달_Ⅳ  (0) 2023.06.25
인간의 발달 _Ⅲ  (0) 2023.06.07
인간의 발달_Ⅱ  (0) 202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