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 및 노인심리학

성인발달 소개_Ⅱ

by 빛글.S 2024. 12. 13.
반응형

변화의 근원

규준적인 역사구분적 영향

 역사적 사건이나 조건에서 생겨나는 경험, 즉 규준적인 역사구분적 영향은 일부 사람이나 집단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런 영향은 특정 집단의 구성원 간 유사점, 동일 집단 내 사람 간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모두 성인 발달 과정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런 변화는 문화적 조건과 코호트(cohort, 동시대 집단) 경험을 포함한다. 코호트는 문화보다 더 정제된 개념인데, 이것이 같은 삶의 단계에서 공통된 역사적 경험을 나눈 사람의 집단을 의미한다. 코호트 중 하나는 대공황을 겪어낸 사람들의 집단이다. 

 

비 규준적인 생활 사건

 비 규준적인 생활 사건은 개인에게 고유하며, 타인과 공유되지 않는 발달적 변화를 야기한다. 이것은 삶의 여정에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 예로, 성인 초기에 배우자가 사망하는 것, 40세에 큰돈을 물려받고 은퇴하는 것, 자녀를 대신해서 손주를 기르는 것, 65세 나이에 사업을 시작하는 것 등이다. 

 

안정성의 근원

 성인 발달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른 안정성을 탐색하고 이해해야 한다. 

 

유전

 유전자의 상당 부분이 종의 구성원 간에 동일한데, 전 세계 아동이 약 12개월 만에 걷고, 10대 초에 사춘기를 경험하며, 약 51세에 폐경을 경험하는 등 우리의 발달 양상이 유사한 이유이다. 하지만 유전적 계승은 개인적이기도 하다. 개별 행동에 대한 유전자의 기여를 연구하는 학문이 행동 유전학이고, 이는 매우 활발한 연구 주제가 되어왔다. 이런 고유한 유전적 특징이 IQ와 같은 인지적 능력, 키나 몸의 형태, 뚱뚱하거나 마른 경향성 같은 신체적 특징, 성격 특징, 알코올 중독이나 조현병, 우울증 같은 병리적 행동까지 광범위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Plomin, Defries, Kropnick et al., 2012).

 성인 행동의 다양성에서 유전적 영향력을 찾기 위해 행동 유전학자는 주로 쌍생아 연구에 의존한다. 이는 어떤 행동에서 일란성 쌍생아와 이란성 쌍생아를 비교하는 연구이다. 일란성 쌍생아가 동일한 정자와 난자로부터 발달하고 수정 시에 정확히 동일한 유전적 패턴을 공유하지만, 이란성 쌍생아는 서로 다른 정자와 난자로부터 발달하기 때문에 다른 형제자매 쌍과 비교하여 유전적으로 더 비슷하지 않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각 쌍생아에게서 어떤 속성이나 능력이 측정되고 쌍생아 양쪽의 점수가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보게 된다. 일란성 쌍생아 쌍이 이란성 쌍생아 쌍보다 더 유사하다면, 그 속성이나 능력이 환경적 요인보다는 유전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 것이라는 증거로 채택된다.

 

환경

 초기 가족 경험의 평생 효과는 하버드 의대 정신과 의사인 조지 베일런트(Geroge Vaillant, 2002)는 아동기에 매우 따뜻하고 믿을만한 가정에서 자랐던 사람은 암울한 가정에서 아동기를 보냈던 사람보다 성인기에 훨씬 잘 적응된 삶을 사는 경향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베일런트의 해석에 따르면, 자녀(이 경우 아들)에게 기본적 신뢰를 제공한 부모는 자기 가치감, 우수한 대처 기술, 의미 있는 관계를 맺는 능력을 심어주며, 아동이 성인기 동안 취하게 될 핵심적 가치를 굳건히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준다. 그리고 적어도 극단적인 상황에서 초기 아동기 환경은 정서적 개방과 신뢰, 좋은 건강을 지닌 생애 또는 외로움, 질병이 있는 생애 중 하나를 만들어낸다.

 

상호작용 주의자 관점

 대부분의 발달심리학자는 유전적 속성이 개인이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환경 그 자체를 결정한다는 상호작용 주의자 관점을 취한다(Greenberg, Halpern, Hood etAL., 2010). 예를 들어, 위험 회피를 촉진하는 유전적 성향을 지닌 소년은 자기 부모, 형제자매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양식을 갖고 성장하게 될 것이며, 큰 위험이 되지 않는 친구 및 활동을 찾을 것이다. 교사는 이를 안정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할 것이고 회계와 같은 직업을 갖도록 이끌 것이다. 그 결과 위험-회피 유전자를 지닌 젊은 성인은 위험성이 낮은 직업 환경에서 일하고 친구와도 위험하지 않은 활동을 즐기게 될 것이다. 

 성인기 안전성의 근원은 유전과 환경적 영향, 이 둘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반응형

'성인 및 노인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과 건강장애_Ⅰ  (6) 2024.12.22
신체적 변화_Ⅱ  (5) 2024.12.21
신체적 변화_Ⅰ  (6) 2024.12.19
성인발달 소개_Ⅲ  (4) 2024.12.18
성인발달 소개_Ⅰ  (5) 2024.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