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역할과 전환
사회적 역할이라는 용어는 사회에서의 지위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과 태도를 말한다. 사회적 역할 이론의 초기에는 성인기는 인생의 각 과정에서 개개인이 맡게 되는 역할의 수로 설명되었다. 이 이론에 의하면 사람은 성인 초기에는 많은 역할을 획득하지만, 이후에는 버리기 시작한다고 한다. 역할은 생활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변화한다(Ferraro, 2001). 성인 진입기에서는 속박당하는 고등학생 역할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대학생 역할로 이동한다. 성인 초기에는 배우자가 되는 것에서 부모가 되는 것으로 역할 전환을 하게 된다. 중년기에는 의존적인 10대의 부모 역할에서 독립적인 성인의 부모로 역할 전환을 한다. 노년기에는 친구와 가족의 죽음으로 인해 몇 가지 역할을 잃을 수도 있지만, 남겨진 역할의 풍족함과 만족감은 증가한다(Neugarten, 1996).
오늘날 타이밍과 역할 순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성인기는 여전히 성인이 맡은 역할의 유형과 그들이 경험하는 역할 전환에 의해 구조화된다.
성 역할과 성 고정관념
성 역할과 성 고정관념을 구분하는 것은 유용하다. 성 역할은 남성과 여성이 주어진 시대와 문화에서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 묘사한다. 또한 성 역할은 꽤 다양하고 남성과 여성으로서 그들의 역할 내에서 실제로 무엇을 하는지로 묘사된다. 성 고정관념은 한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집단이 지닌 것 또는 종종 각 성의 사람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유된 믿음이나 일반화를 뜻한다.
성 고정관념은 문화 간에서 일치한다. 23개국의 대다수 사람에게서 남성에 관한 고정관념은 경쟁적, 모험적, 신체적으로 건강함과 같은 도구적 특질(용감하고 경쟁)로 칭해지는 특질을 중심으로 되어 있고,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은 공감적, 양육적, 직관적과 같은 공동체적 특질(양육과 통찰력)을 뜻하는 친화와 표현의 특질을 중심으로 되어있다.
성 역할이 특정한 문화에서 남성과 여성이 실제 하는 일이라고 한다면, 이런 역할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일까? 어떻게 소년과 소녀가 남성과 여성이 되는 것을 배우게 되는 것일까? 고전적인 답은 학습–도식 이론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어린이는 세상과 그들 스스로에 대해 인위적이거나 과장되게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을 구별하는 성 양극화 렌즈를 통해 바라보는 것을 배운다고 한다. 성인이 되면, 이러한 구별에 자기 행동을 맞추려고 한다. 학습–도식 이론은 성 역할이 성 차이를 과장하는 왜곡된 관점에 기인한다고 설명한다. 사회적 역할이론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성 역할은 어린이가 그들 문화에서 관찰한 결과이고, 성 역할이 남성과 여성 행동을 관찰하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한다.
성 역할의 유래에 대한 이 두 가지 이론은 즉각적 환경에서 나타나는 근거리 원인을 다루고 있다. 성 역할 유래에 대한 다른 이론은 과거에 존재했던 원거리 요인을 사용해서 성 역할의 기원을 설명했다. 예컨대, 진화 심리학은 성 역할이 남성과 여성이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유전적 특질과 우리의 원시 조상으로부터의 대물림에 기인한다고 한다.
모든 이론은 자신의 이론을 확장하고 근거리 원인과 원거리 원인 모두를 고려하는 관점을 택함으로써 다른 이론과 더 가까워지고 있다. 이런 생물 사회학적 관점에서는 남성적인 역할과 여성적인 역할에 대한 편향이 인간 진화 과정에서 발전했고, 생물학적 차이(원거리 원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개인의 생물학, 발달 경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하는 성 역할을 만들기 위해 현재의 사회적 · 문화적 영향(근거리 원인)과 상호작용한다고 주장한다(Wood & Eagiy, 2002).
'성인 및 노인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역할_Ⅲ (5) | 2025.01.03 |
---|---|
사회적 역할_Ⅱ (5) | 2025.01.02 |
인지 능력_Ⅱ (3) | 2024.12.29 |
인지 능력_Ⅰ (43) | 2024.12.26 |
건강과 건강장애_Ⅱ (3)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