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 및 노인심리학

사회적 관계_Ⅲ

by 빛글.S 2025. 1. 14.
반응형

친밀한 파트너 관계

성공적인 결혼

결혼생활에서 긍정적인 부분이 부정적인 부분보다 우세하면 결혼 만족도가 증가한다. 평가의 주요 요소에는

 

 • 애정과 존경 : 커플의 이야기가 사랑과 존중으로 가득한가? 그들의 따뜻함, 유머, 애정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는가? 좋았던 시간을 강조하는가? 그들은 서로 칭찬하는가?

 • '우리' 대 '나' : 커플의 신념, 가치, 목표가 일치하는가? 커플이 '나'보다는 '우리'라는 말을 쓰는가?

 • 사랑 지도 : 커플이 그들의 관계 역사를 다양한 세부 사항들과 긍정적 에너지로 묘사하는가? 그들 자신이나 파트너에 대한 개인적 정보를 개방하는가?

 • 혼돈 대신 목적과 의미 : 커플은 그들이 함께한 세월에서 극복했던 고난을 자랑스럽게 이야기하는가? 그들은 함께 공유한 목표나 소망에 관해 이야기하는가?

 • 실망 대신 만족 : 자기 파트너와 그들의 결혼이 자기 기대 이상이라고 말하는가? 그들은 서로 가진 것에 대해 만족하고 감사해하는가?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하는가?

 

결혼에 대한 다양한 연구로부터 얻은 교훈은 행복한 결혼은 파트너의 인생에 큰 도움이 되고 불행한 결혼은 손해가 된다는 것이다. 

 

동거와 결혼

많은 커플이 결혼 전에 동거하고 있으며, 동거하지 않고 결혼한 커플보다 이혼율도 높고 결혼 만족도도 낮다. 그러나 약혼한 커플처럼 결혼하기로 언약하고 나서 동거하는 경우에는 동거 없이 결혼한 커플처럼 행복하고 장기적인 결혼생활을 했다. 결혼하는 커플과 동거하는 커플 간의 행복 차이는 여성의 성 역할과 종교에 대해 그들의 문화가 가지는 견해에 달려 있다. 

 

동성애 파트너 관계

동성 결혼 커플은 이성 결혼 커플처럼 권리나 보호를 받지 못한다. 많은 미국인은 동성결혼을 지지하지만, 일부 정치 지도자, 종교 지도자와 사람은 이런 관계를 여전히 우리 사회를 위협한다고 생각하며 비난한다. 현재 LGBT[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양성애(bisexual), 트렌스젠더(transgendered)]의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다. 게이나 레즈비언으로 제한하면 비율은 1~4% 정도이다. 

 동성애 커플과 이성애 커플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다. 사랑에 빠지고, 장기적 관계에 대해 걱정하고, 법적인 커플로 인정받기를 희망한다. 두 커플 모두 밖에서 일하고 집안일과 경제적 책임은 나눈다. 

 동성애 커플과 이성애 커플의 차이점은 이성애 커플은 타인에게 친밀한 파트너 관계나 성적 취향에 대해 숨길 필요를 느끼지 않지만, 동성애 커플은 개방의 결과로 가족과 친구의 지지나 접촉을 상실하는 피해를 본다.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가족을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다. 생물학적 가족, 입양 가족, 이혼/재혼 가족도 있다. 

 

가족 상호작용의 일반적 패턴

 사회학자들은 가족 관계의 질을 6개의 범주로 평가하고 있다(Bengtson & Schrader, 1982). 세대 간 결속 이론에 의하면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이 평가된다.

 

 • 접촉적 결속 : 가족 구성원이 자주 상호작용하는지, 어떤 활동을 함께 하는지.

 • 애정적 결속 : 가족 구성원이 긍정적인 정서를 공유하고 있는지, 그러한 정서를 서로 교환하는지.

 • 일치적 결속 : 가족 구성원이 동일한 가치, 태도, 신념을 공유하는지.

 • 기능적 결속 : 가족 구성원이 서로를 위해 얼마나 많은 지원과 봉사를 제공하는지.

 • 규범적 결속 : 가족 구성원이 자신을 가족의 일원으로 느끼고 있는지, 서로 동일시하는지.

 • 세대 간 가족 구조 : 가족 구성원이 몇 명인지, 어떻게 맺어진 가족인지 그리고 서로 얼마나 가깝게 지내는지.

 

 이 이론에 의하면, 가족 구성원은 자주 상호작용을 하고, 많은 정서를 느끼고, 기본적인 태도와 의견을 공유하고, 도움이 필요할 때 서로 돕고, 가족의 기본 믿음에 동의하고 상호작용하는 방법(함께 가까이 살거나 의사소통을 위해 IT 기술을 사용하여)을 가지고 있다면 매우 가까워질 수 있다.

반응형

'성인 및 노인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과 은퇴_Ⅰ  (14) 2025.01.23
사회적 관계_Ⅳ  (5) 2025.01.21
사회적 관계_Ⅱ  (2) 2025.01.08
사회적 관계_Ⅰ  (4) 2025.01.06
사회적 역할_Ⅲ  (5)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