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인 및 노인심리학

사회적 관계_Ⅳ

by 빛글.S 2025. 1. 21.
반응형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

성인기 부모–자녀 관계

 성인기 부모–자녀 관계에서 중요한 질문은 "아동기 애착 유대는 어떠했는가?"이다. Bowlby(1969)는 애착이 병적이거나 극도로 고통스러운 시기를 제외하고는 청소년기 동안 애착은 감소하다가 파트너에게 전환되면서 결국 사라진다고 하였다. 

아동이 성인이 되어 자기 가정을 꾸리게 되면 부모와의 애착 유대는 점차 약화되어 결국 끝나게 된다. 그렇지 않으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 것이 정서적으로 힘들어질 것이다. 부모와의 애착을 포기하는 것은 후기 청소년기와 성인 초기의 개별화 달성 과정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Weiss, 1986). 하지만 최근에는 부모와 아동의 애착이 청소년기에 감소하지 않으며, 형태가 약간 변형된다고 하였다(Cicirelli, 1991). 물리적 접근성이 중요하던 것에서 의사소통이 중요한 것으로 바뀐다. 성인기에는 부모의 물리적 존재 대신 서로에 대한 상징물(기억, 사진, 가보)이나 핸드폰, 문자메시지, 가끔 만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대부분의 성인 자녀와 부모는 가까운 곳에 살고, 자주 만나고, 정서적으로 가깝게 느끼고, 유사한 의견을 공유하고 있다. 중년기 성인에 대한 연구에서 베이비붐 세대는 이전 세대 부모보다 성인 자녀와 더 자주 만나고 모든 부분에서 더 많은 지지를 제공한다고 한다. 이런 관심은 성인 자녀가 이전 세대보다 더 잘 적응하도록 돕는다.

 Bengston의 세대 간 결속 이론에 따르면, 애정적 결속은 가족 관계에서 중요하다. 서로에 대한 애정 표현은 관계의 친밀한 정도를 보여준다. 가령, 부모의 애정을 유일한 자원으로 인지하는 아동은 부모가 아동의 형제자매에게 애정 표현하는 것을 보았을 때, 홀로 남겨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암묵적 믿음은 부모의 사랑이 구체적인 유형의 물건이 아니라는 것을 알 만큼 인지적으로 성숙하게 되면 사라진다(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손가락 없다는 속담처럼).

 세대 간 결속 이론에 따른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일치적 결속으로 가치, 태도, 신념에 대한 일치이다. 아동은 부모로부터 이런 것을 배우지만, 성인이 된 자녀는 부모의 가치, 태도, 신념을 확장한다. 

 

황혼 이혼의 영향

 황혼 이혼이 증가하고 있고, 젊은 성인과 중년의 새로운 관심사는 부모의 이혼을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가족의 상실, 연휴 시기를 어떻게 보낼지, 계부나 계모, 이복형제, 나이 든 부모를 돌보는 것 등, 심각한 문제가 많다.

 

성인기의 자녀 문제

 자녀의 문제는 항상 걱정을 유발한다. 심지어 자녀가 성인이라고 할지라도 말이다. 나이 든 부모의 고민 중 가장 주요 원인은 독립적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성인 자녀(미혼인 자녀, 교육을 다 마치지 않아서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과 돌봄을 필요로 하는 자녀, 이혼한 자녀), 심각한 문제를 경험하는 성인 자녀(죄를 짓거나, 약물 중독, 알코올 문제, 건강 문제, 직장에서 해고당한 성인 자녀)이다.

 

조부모–손주 관계

 현세대에게 조부모 양육 역할은 매우 넓어졌으며, 조부모와 손주의 연령, 거주지의 거리, 조부모와 (손주의) 부모의 관계와 같은 많은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 외조모는 일반적으로 친조부모보다 더 가까운데, 부모가 이혼한 경우에 더욱 그렇다. 

 

형제자매 관계

인생 전반에 걸쳐 상대적으로 일관적인 형제자매 관계는 노년기에 더욱 강해진다. 형제자매 관계의 변화는 인생 사건과 관련이 높은데, 인생 후반에 일어나는 사건(부모의 죽음, 은퇴)은 형제자매를 성인 초기에 일어난 사건들에 비해 더 친밀하게 만든다.

 

성인기 우정

 발달심리학자 Dorothy Field(1999)는 우정을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사회적 관계'로 정의하였다. 우정은 근접성, 혈연, 획일화된 기준이 없고 개인적인 이유가 매우 다양하다. 

 우정은 성인 진입기와 성인 초기에는 정체감 탐색을 위해 친구를 찾고, 직업 세계로 나가고, 가족을 구성하기 위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중년기에 도달하면 배우자와 자녀에게 집중하게 되고 친구의 수는 감소하여 인생의 후반기까지 지속된다. 노인은 작은 우정 관계망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친구와 덜 만난다. 그래서 갈수록 가족관계는 우선순위가 된다.

  모든 연령의 많은 성인은 애완동물이 가족 구성원처럼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에 중요한 존재가 된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성인 및 노인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과 은퇴_Ⅱ  (5) 2025.02.09
일과 은퇴_Ⅰ  (14) 2025.01.23
사회적 관계_Ⅲ  (2) 2025.01.14
사회적 관계_Ⅱ  (2) 2025.01.08
사회적 관계_Ⅰ  (4)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