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은 성인 삶의 일부이고, 오래 살수록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게 될 확률은 더 높다.
사망률과 사망 원인
사망률은 연령과 함께 증가하는데, 특히 60세 이후에 그러하다. 사망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른데, 사고, 타살, 자살은 성인 진입기의 사망 원인 목록에, 심장병과 암은 노인의 사망 원인 목록에 나타난다.
<표 1> 미국의 연령에 따른 주요 사망 원인
순위 | 15~24세 | 25~44세 | 45~64세 | 65세 이상 |
1 | 사고 | 사고 | 암 | 심장 질환 |
2 | 타살 | 암 | 심장질환 | 암 |
3 | 자살 | 심장질환 | 사고 | 하기도 장애 |
4 | 암 | 자살 | 하기도 장애 | 뇌졸중 |
5 | 심장질환 | 타살 | 당뇨병 | 알츠하이머병 |
출처: National Center Health Statistics(2012)의 자료.
이환율, 질병 그리고 장애
2차 노화는 성인기를 거치면서 감염 같은 외부 요인 또는 특정 장기나 체계의 질병과 같은 내부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 변화를 포함한다. 이런 변화는 사고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모든 질병이 장애를 발생시키지는 않으며, 모든 장애가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성인기로의 여정 동안 건강 상태 때문에 삶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일반적인 건강 상태
성인 초기는 급성 질환의 발생 정도가 크다. 감기, 독감, 감염 혹은 단기 위장장애를 포함하는 급성 질환의 경우, 젊은 성인도 65세 이상 성인이 경험하는 단기 건강 문제의 2배 이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장병, 관절염 또는 고혈압처럼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장애 같은 만성 질환만 연령 증가와 함께 빈번해진다. 이 질환으로 인해 노인은 2~3배 정도 더 고통받는다.
장애
①일상생활 활동으로 불리는 목욕, 옷 입기, 집안 돌아다니기, 침대에서 의자로 이동하기, 화장실 사용, 식사와 같은 기본적인 자기 관리 활동
②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 능력으로 불리는 식사 준비, 개인 물품 구매, 가벼운 집안일, 빨래, 대중교통 이용, 재정 운영, 전화 사용, 약 복용 등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일상 과제
이 두 가지 행동 군을 수행할 수 없는 개인을 장애로 정의한다.
모든 연령대에서 장애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연령과 함께 발생 정도가 증가한다. 노인은 젊은 성인보다 일상생활 활동과 도구적 일상생활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했고, 이를 수행하는 능력은 삶의 질에 있어 핵심 지표이다.
만성질환이나 건강 질환이 곧바로 장애로 전환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성인에게 중요한 이슈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고 없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런 질환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 일상 활동에 제약을 가하는지, 스스로를 돌보는 능력과 타인의 도움 없이 생활에 참여하는 능력을 감소시키는지 아닌지의 여부이다.
그리고 수입의 증가, 교육 수준의 향상은 간접 효과도 갖는다. 예를 들어, 높은 교육을 받은 사람은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힘든 직업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작다. 또한 높은 수입을 가진 젊은 성인과 중년 성인은 건강관리를 잘하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갖는 것에 더 많이 신경 쓸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65세 이상 여성의 81%, 남성의 90%는 지역사회에 거주한다. 오직 4%만이 요양원에 머물며, 대부분은 80대 혹은 그 이상이다.
특정 질환
심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성인 사망 원인 가운데 첫 번째이다. 플라크의 위험한 축적으로, 끈적끈적한 지방 찌꺼기가 차츰차츰 쌓이는 것으로 동맥경화증이라 하는데, 이는 염증에 의해 발생하고, 염증은 면역체계를 보호하기 위해 생겨나지만, 만성적 염증은 혈관 벽에 플라크 형성을 초래하고, 혈관을 파열시키거나 혈관을 막는 혈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심장 발작과 뇌졸중을 일으키기도 한다(Smith, Lightfoor, Lerner, et al., 2009).
심혈관 질환은 선진국 도처에서 여성 사망 최고 원인이다. 남성과 초기 증상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여성에게 더 위험하다. 심장 발작은 흉부 바로 옆에 나타나는 치명적인 고통이지만 여성에게는 메스꺼움, 극심한 피로, 현기증, 식은땀, 숨 가쁨, 상반신이나 목 혹은 턱에 날카로운 통증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고 신호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잘못 해석하게 될 때 의학적 도움이 필요한 골든 타임을 지나칠 수 있으며, 이는 남성이 심혈관 질환을 가지는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표 2> 심장질환 위험 요인
• 50세 이상 • 좌식 생활방식 • 심장질환 가족력 • 당뇨병 • 흡연 및 간접흡연 • 높은 콜레스테롤 • 비만 • 고혈압 |
출처: CDC(2012f)
암
암은 비정상 세포가 급격하게 가속화되고 통제되지 않은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것으로, 인접한 정상 조직으로 전이되기도 하고,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암 발생 부위보다 멀리 있는 뇌나 신체 다른 부분, 신체 내 조직으로 전이되기도 한다.
암 발생 정도는 연령과 함께 증가한다. 우리 통제하에 있는 암의 위험 요인은 흡연, 비만, 자외선 노출 등이 있고, 우리 통제하에 없는 요인은 연령과 가족력이다.
<표 3> 암 위험 요인
• 50세 이상 • 좌식 생활방식 • 암 가족력 • 성병 • 흡연, 씹는담배, 코담배 • 비만 • 건강하지 못한 식단(채소나 과일 적은 양 섭취) • 과도한 알코올 사용 • 직장 내 화학물질, 방사선에 노출 • 강력한 자외선 무방비 노출 |
출처: Torpy(2004); CDC(2011d).
당뇨병
당뇨병은 신체 내 인슐린 대사가 불가능한 질병이다. 당뇨병은 심장병과 뇌졸중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며, 실명, 신장병, 발과 다리 절단, 선천성 결함을 초래하는 임신 중 합병증, 조기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제1형 당뇨병은 아동기 또는 성인 초기에 나타나기도 하지만, 당뇨병의 90%는 제2형이며 이는 높은 연령, 비만, 신체 활동 결여와 관련되어 있고, 중년 성인이나 노인의 장애 및 주요 사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2형 당뇨병은 개인 삶에서 좌식 생활방식,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 등을 변화시키고, 때때로 위 우회술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
<표 4> 당뇨병 위험 요인
• 45세 이상 • 좌식 생활방식 • 당뇨병 가족력 • 고혈압 • 비만 • 높은 콜레스테롤 |
출처: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2012).
알츠하이머병
65세 이상 성인의 다섯 번째 사망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으로, 다양한 인지 기능을 포함하는 뇌 중요 부위에서 점진적이고, 되돌릴 수 없는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 가운데 가장 빈번한 유형으로, 인지 능력과 신체 기능에서 전반적인 퇴화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치매는 뇌졸중, 파킨슨 질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두부 손상, 두부외상, 진행된 상태의 AIDS, 우울증, 약물 중독, 갑상선 기능저하, 일부 종양, 비타민 B¹² 결핍, 빈혈, 알코올 남용 같은 것에 의해서도 초래될 수 있다. 인지기능의 저하가 알츠하이머병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때로는 치료될 수 있는 질환이며, 괜찮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알츠하이머병은 50세 이전에는 거의 보이지 않고, 90%의 사례가 65세 이후에 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의 많은 위험 요인은 심혈관 질환과 유사하며, 이 두 가지는 아마도 생애 초기 염증과 관련될 것이다. 수정될 수 있는 몇몇 위험 요인은 흡연, 좌식 생활방식, 비만이다. 수정이 불가능한 요인은 연령과 유전적 경향성이다. 스포츠와 싸움에 의해 발생하는 트라우마틱 두부 손상(TBI)은 이후에 만성 트라우마틱 뇌병증(CTE)으로 불리는 유형의 치매를 초래할 수 있다.
뇌의 정상적인 노화는 이전만큼 예리하거나 빠르지 않고, 새로운 정보 학습을 보다 어렵게 한다. 예를 들어,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잠시 잊어버리거나, 특정 이름을 회상하는 데 곤란을 겪거나, 자동차 키를 제자리에 두지 않아 찾지 못하는 등이다.
알츠하이머병의 인지적 증상은 계절의 흐름을 잊어버리거나, 대화를 지속할 수 없거나, 친숙한 이웃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 5> 알츠하이머병 위험 요인
• 50세 이상 • 좌식 생활방식 • 알츠하이머병 가족력 • 머리 부상 • 흡연 • 높은 콜레스테롤 • 비만 • 고혈압 |
출처: Alzheimer's Association(2012).
노화 관련 질환과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
노화 관련 장애를 가진 사람이 증가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오늘날 노인 인구의 증가를 들 수 있다.
둘째, 당뇨병과 같은 노화 관련 질환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성인 및 노인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 능력_Ⅰ (43) | 2024.12.26 |
---|---|
건강과 건강장애_Ⅱ (3) | 2024.12.24 |
신체적 변화_Ⅱ (5) | 2024.12.21 |
신체적 변화_Ⅰ (6) | 2024.12.19 |
성인발달 소개_Ⅲ (4)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