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54 집단과 개인_Ⅱ 2. 개인에게 미치는 집단의 영향 집단이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회적 영향이라고 한다. 1) 집단에 대한 동조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집단의 의견에 따르는 것을 동조(confirmity)라고 한다. 동조는 애매하고 분명하지 않는 상황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개인주의 문화인 미국보다 집단주의 문화인 일본에서 더 분명히 나타난다. 애매하고 분명하지 않는 상황에서 집단에 동조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명확한 상황에서도 동조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애쉬(Asch,1955)의 실험에서 동조가 일어나기 어렵지만 사람들은 집단의 의견에 동조하려 하였다. 이는 집단에 동조함으로써 집단에서 인정 받고 동조하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배척 을 회피하려 하기 때문이다. 집단에 대한 동조는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증가하지만 일.. 2023. 11. 16. 집단과 개인_Ⅰ 1. 집단의 특성 1) 집단의 형성 과정 가족이나 민족처럼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집단도 있지만 사회에서 경험하는 대부분의 집단은 단계적으로 형성되며 단계마다 특징이 있다. 집단 형성 단계에서는 개인이 낯선 타인과 접촉해야 하고, 행동규범이나 해야 할 일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심리적 긴장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구성원이 공손한 대화를 하고 속마음을 잘 내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타인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면서 심리적 긴장감이 줄고 소속집단에 일체감과 소속감을 느끼게 된다. 집단 형성 후 시간이 지나면 구성원 서로의 속마음이나 자기 선호도를 표현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타인의 행동이나 입장을 오해하는 갈등 단계가 시작된다. 이러한 갈등이 집단해체를 가져오기도 하지만 갈등의 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 2023. 9. 26.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Ⅳ 2. 친사회적 행동 1) 친사회적 행동이란 무엇인가 친사회적 행동이란 타인을 위해 자기의 이익을 희생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도와주기, 나누기 같이 타인을 이롭게 하고 사람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촉진하는 사회적 행동을 말한다. 사람에 따라서 친사회적인 행동과 이타행동을 다르게 정의하기도 하는데, 친사회적 행동은 보수의 유무에 상관없이 타인을 도우려는 포괄적인 행동이라고 한다면 이타행동은 보수를 기대하지 않고 도와주는 행동으로 보기도 한다(Berkowitz & Macarlay, 1972). 그러나 보상의 기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친사회적 행동과 이타행동을 구분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그래서 친사회적 행동이란 말을 폭넓게 사용한다. 2)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인지적 요인 상대방 관점.. 2023. 9. 12.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Ⅲ 3) 공격행동의 발달과 억제 (1) 공격행동의 발달 세 살 이전의 아동 공격행동은 공간과 놀잇감의 차지와 관련된 경향이 있다. 놀잇감을 차지하려는 행동 속에는 상대를 의도적으로 밀치는 등의 공격행동을 나타낸다. 세 살에서 여섯 살 사이의 아동 공격행동은 사물에 대한 싸움에서 지위에 대한 싸움으로 변화되며 공격수단이 신체적인 것에서 흉을 보고, 놀리고, 욕하는 등의 언어적인 것으로 변화한다. 변화 원인은 부모의 제재와 공격행동이 자기 목적 달성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여섯 살이나 일곱 살이 되면 자기중심적 생각에서 상대에 대한 감정이입이 발달하면서 공격행동이 감소한다. 그러나 상대의 우연한 공격적 행동을 고의성 공격행동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높아진다. 이렇게 적의적 공격성(다른 사람을 의도.. 2023. 9. 2.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Ⅱ 2)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생물학적 요인 공격행동의 발달과정에 생물학적 요인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뇌의 기능적 이상이나 신경전달물질의 비정상적 분비로 인해 발생한다. 첫째, 편도체와 전두엽의 기능이상은 과도한 공격행동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한 뇌염을 앓은 후 충동적 공격행동을 보이는 여성의 경우 편도체 이상이 공격행동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며(Mark, 1975)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보이는 사람 중에는 전두엽에서 비정상적인 뇌 활동이 관찰되었다(Howard, 1976). 즉, 전두엽의 낮은 활동은 범죄를 저지를 때 나타나는 불안감과 범죄를 회피할 때 나타나는 안도감 간의 차이를 감소시켜 범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대뇌의 세로토닌 과소 분비나 테.. 2023. 7. 29.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Ⅰ 1. 공격행동이란 무엇인가 공격행동이란 물리적, 언어적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의 공격행동은 범죄자의 범죄행위, 스포츠에서 대결, 사법기관의 처벌, 국가 간의 전쟁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공격행동의 허용 여부는 남에게 해를 끼칠 의도가 있었는지에 달려 있다. 공격행동은 도구적 공격행동과 적대적 굥격행동으로 구분된다(Feshbach, 1964). 도구적 공격행동은 자기 욕구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공격행동을 하는 것이고, 적대적 공격행동은 좌절이나 분노로 인해 남을 해치기 위해 하는 공격행동이다. 1) 공격행동을 바라보는 관점 (1) 진화생물학적 관점 위협적인 상황에서 종족이 생존하는 데 공격성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즉, 공격행동은 먹이 구하기, 영토 보존, 배우자 선.. 2023. 7. 1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