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의 성격적 · 사회적 · 도덕적 발달_Ⅱ
2. 성격 발달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 지그문트 프로이드( Sigmund Freud, 1856~1939)는 인간의 행동은 비합리적인 힘, 무의식적 동기, 생물학적 추동, 생애 첫 6년간의 주요한 심리성적 사상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Freud, 1960). 프로이드는 성적 에너지와 본능적 에너지를 리비도(Libido : 라틴어로 '욕망'의 의미)라 불렀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적 관점에 따르면 성격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첫째, 생물학적 구성요소인 원초아(id)는 생존하고 공격하려는 기본 추동을 만족시키고자 하는 정신에너지로서 대부분 무의식적이고, 본능적 욕구 만족을 추구하는 쾌락 원리에 지배받는다. 둘째, 심리적 구성요소인 자아(ego)는 부분적으로 의식되는 지각, 사고, 판단, 기..
2024. 2. 25.
교육심리학 : 교수의 기초_Ⅰ
1. 교육심리학의 의미 교육학의 기초가 되는 교육심리학은 교육 대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고, 잠재 능력 계발을 위해 환경요소에 내재하여 있는 심리적 요소를 연구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의 문제 해결을 위해 갖추고 있어야 하는 실천적 이론이다. 교육심리학의 주 영역은 인간 발달, 인지, 학습, 동기 및 상담 등이고, 배경 영역에는 발달심리학, 학습심리학, 인지심리학 등이다. 교육심리학은 교육 현상과 실제이며, 이를 과학적으로 탐색하고, 보다 나은 교육 실제를 위해 경험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교육방안을 제안한다. 2.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육심리학은 교육과정의 질과 결과의 향상을 위해 심리학 지식을 이용해서 연구하는 독자적 학문이다. 즉, 교육심리학은 훌륭한 교사와 바..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