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의 이해

마음의 과학: 심리학_Ⅰ

by 빛글.S 2022. 11. 4.
반응형

1. 심리학에 대한 오해와 진실

심리학을 공부하면 타인의 마음을 알 수 있을까? 우선 사람의 마음은 눈으로 볼 수가 없기 때문에 행동을 관찰하여 추론할 수밖에 없는데 사람은 마음과 다르게 행동하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에 마음은 알아내기가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기 위해 대뇌의 세포 활동을 연구, 사회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이 정상인과 어떻게 다른지를 연구, 인간의 행동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에 인간의 마음을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심리학을 공부하면 우리 삶에 어떤 도움을 얻을 수 있을까? 심리학은 일상생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연구하는 발달심리학에서는 아이를 바람직하게 키우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인간이 사물의 형태나 색깔을 지각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지각 심리학에서는 디자인을 통해 상품의 가치를 높이길 원하는 디자이너에게 도움이 되는 지식을 제공한다. 또한 심리학은 우리 자신이나 세상을 오해나 편견 없이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남녀 간의 차이가 남녀 간의 인간관계에 일으키는 오해와 갈등에 대한 원인과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을 피하고 좋은 관계 유지를 돕고,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편견이 발생하는 것이 사회적 범주화를 추구하는 인간의 성향 때문임을 보여줌으로써 소수자를 편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도와준다.

 

2. 심리학의 역사 살펴보기

마음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철학에 기원, 마음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칸트는 마음이 직접 관찰되거나 측정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철학적 사유의 대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19세기 말 자연 과학의 발전으로 인간의 마음을 객관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와 함께 과학적 학문으로써의 심리학의 시작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 마음의 구조를 찾으려고 한 구조주의

분트(1832~1920)는 <생리 심리학의 원칙> (1874)이라는 저서에서 인간의 마음이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의식구조를 찾아냄으로써 연구될 수 있다고 주장, 이러한 분트 생각을 구조주의라고 부른다. 티치너(1867~1927)는 분자구조를 분석하여 물질의 성질을 알아내는 화학처럼 내성법을 이용하여 현상적 경험을 이루고 있는 마음의 기본 요소들이 결합되는 방식을 알아내면 의식구조를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2)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무의식의 작용을 밝히려고 한 정신분석학

오스트리아의 신경과 의사인 프로이트(1856 ~1939)는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무의식이라고 주장하고 그 속에 숨겨져 있는 욕구나 충동을 찾아내기 전에는 인간의 마음을 이해할 수 없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일상생활에서의 정신 병리학"이라는 저서에서 아동 초기의 성적 경험들이 성격 발달에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주장을 하여 사회적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무의식에 잠재된 욕구나 충동을 의식화하면 행동이나 신경증의 원인을 밝힐 수 있다고 보았다.

3) 인간의 행동을 환경에 대한 적응의 결과로 보는 기능주의

대표적인 기능주의 심리학자인 제임스(1842 ~1910)는 <심리학의 원리>라는 저서에서 현대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감정이나 자아 등에 중요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4) 마음보다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강조한 행동주의

러시아의 생물학자인 파블로프(1849 ~1936)의 행동주의는 20세기의 대표적인 심리학 학파이다. 마음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없으며 행동만이 심리학의 연구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왓슨은 <행동주의>(1919)이란 저서에서 행동주의의 원리가 모든 학습의 기반이 된다고 주장, 손다이크나 스키너 같은 행동주의자는 다른 학문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5) 전체는 부분의 합에 의해 설명될 수 없다는 형태주의 심리학

베르트하이머(1880~1943)를 비롯한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은 맥락과 분리되면 마음의 고유한 특성이 사라지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학습, 기억, 문제 해결 같은 인간의 지적 기능에 관심을 가졌던 형태주의 심리학은 코프카(1886~1941)나 쾰러(1887~7967) 등의 학자들에 의해 널리 알려졌고 인지심리학의 성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6) 인간을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로 본 인본주의 심리학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매슬로우(1908~1970) 는 인간이 생물학적 욕구뿐만 아니라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욕구를 지고 있다고 주장, 인간의 본성을 강조한 로저스(1902 ~1987)는 인간 중심 치료법을 제안하여 심리치료의 변화에 원동력을 제공하였다.

7) 인간을 정보를 처리하는 존재로 보는 인지 심리학

지각이나 기억과 같은 인간의 지적 활동에 관심을 가졌던 형태주의 심리학과 통제된 실험실 연구를 강조한 행동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 인지심리학은 성격, 심리치료, 사회심리학 등 심리학의 모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8) 마음과 몸을 동전의 앞과 뒤로 바라보는 생물 심리학

생물 심리학에서는 뇌를 비롯한 신경 체계나 내분비계의 활동과 행동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마음의 작용을 이해하려고 한다. 과거에는 생물학적 연구 방법의 한계 때문에 동물이나 뇌에 문제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뇌영상촬영기술의 발달로 뇌 활동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인간의 정신활동과 연관된 뇌영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반응형

'심리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각과 지각_Ⅱ  (0) 2022.12.02
감각과 지각_Ⅰ  (0) 2022.11.26
의식의 세계_Ⅱ  (0) 2022.11.21
의식의 세계_Ⅰ  (0) 2022.11.13
마음의 과학: 심리학_Ⅱ  (0)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