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청소년 문제와 보호28 청소년 문제행동 이론_1 2장. 청소년 문제행동 이론1. 청소년 문제행동의 정의 청소년 문제행동은 비행이나 일탈 등의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김신일(1983)은 청소년 문제행동을 협의의 개념으로 보았을 때는 청소년 일탈이나 비행이라는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광의의 개념으로 보았을 때는 청소년이 속한 사회의 성인이나 영향력 있는 집단에 의한 사회 가치관이 저해되는 것만 아니라 청소년 스스로 자기 가치관 또는 인간적 삶을 위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문제 예방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광의의 개념이 더 선호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같이 구분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문제행동은 학교폭력, 자살과 같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행동만 아니라 부적응 행동까지 포함한 것이다.2. 청소년 문제행동 관련.. 2025. 6. 18. 청소년과 위기청소년_2 1장. 청소년과 위기청소년3. 위기청소년에 대한 이해1) 위기청소년의 정의 가정, 학교, 사회에서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은 바라보는 시각이나 접근방식 등에 따라 문제 청소년, 비행 청소년 등 다양한 말로 불려 왔지만, 최근에는 위기청소년이란 말로 불리고 있다. OECD(1995)에서는 위기청소년을 "학교에서 실패하고 직업이나 독립적인 성인의 삶으로 성공적으로 이행하지 못할 것 같은 사람, 그 결과 사회에 긍정적인 기여를 못할 것 같은 청소년"으로 정의 내리고 있다(지승희 외). 하지만 국내에서는 학교로 제한하지 않고, 청소년 삶 전반의 문제로 보고 있다. 구본용(2005)은 위기청소년을 다양한 위험 환경에 노출되어 행동 · 심리적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고, 적절한 개입 없이는 정상적 발달.. 2025. 6. 15. 청소년과 위기청소년_1 1장. 청소년과 위기청소년 청소년 시기는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부른다. 성인도 아동도 아닌 중간인으로서 감정과 행동 등이 과격하고 거칠며 심리적 동요가 심한 특징을 보인다. 이 시기 청소년은 방황하기도 하고, 비행을 저지르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 문제의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 학교폭력 사건은 성인의 폭력 세상과 다를 바 없고, 범죄의 수준 또한 성인의 범죄와 큰 차이가 없다. OECD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 지수는 OECD 회원국 중 최하위이고, 자살지수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비행, 가출, 학업 중단, 자살할 정도로 청소년의 심리적 고통과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우리는 청소년의 다양한 문제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 심리적 · 생리적 변화에 대해 알고, 문제행동을.. 2025. 6. 14. 이전 1 ···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