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의 이해40

이상행동과 치료_Ⅲ 2)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혹시 문을 안 잠그고 나왔나 하고 생각하거나 악수할 때 세균이 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반복되는 것처럼 생각하고 싶지 않은 생각이나 심상이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반복되는 것을 강박관념(obsession)이라 하고, 열쇠로 문을 계속 잠그거나 외출 후 손을 여러 번 씻는 것처럼 비합리적 의식이나 행동을 강박행동(compulsion)이라 한다. (1)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장애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박사고는 고통스러 생각이나 심상, 충동이 반복적으로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고 강박행동은 강박사고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같은 행동을 반복하.. 2023. 4. 8.
이상행동과 치료_Ⅱ 4. 주요 정신장애에 대한 소개 1)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사람은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위협이나 위험이 닥치면 불안을 느끼게 된다. 시험을 칠 때가 다가왔다든지, 어두운 밤길을 걷는데 뒤에서 발소리가 날 때 느끼는 불안은 당연하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별다른 상황이 아닌 보편적인 상황에서도 불안함을 느낀다면 이것은 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다. 불안장애는 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 광장공포증,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의 많은 하위 장애들로 이루어져 있다. (1)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범불안장애는 늘 걱정을 많이 하고 사소한 일에도 긴장을 잘하고 이런 특성 때문에 예민하고 만성피로를 느끼고 수면장애 같은 신체 증상을 보이게 된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많이 진단.. 2023. 4. 7.
이상행동과 치료_Ⅰ 1. 이상(abnormality)과 정상(normality)을 구분하는 기준 이상과 정상을 구분하기 위해 적용되어온 기준 중 이상 행동이라고 부르는 기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통계적 기준 : 대부분의 사람은 그렇지 않은데 혼자만 독특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우다. 어떤 행동이 정상 분포에서 95%의 범위를 벗어난 행동을 이상행동이라 부를 수 있다. 그 예로, 부모님의 장례식에서는 슬픈 감정을 느껴야 하는데 혼자 즐거운 느낌이 드는 것. 그러나 이상행동으로 느끼는데도 통계적 기준에 따라 이상행동이 아닌 경우가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사람이 죽었는데도 그 사람의 목소리가 들린다면 이상행동이지만 통계적으로 볼 때 남편이 사망한 후 미망인의 50~90%가 남편의 목소리를 듣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보면 이것은.. 2023. 4. 2.
정서와 조절_Ⅱ 3. 정서의 표현 다윈 이후 여러 학자들이 정서 표현은 부분적으로는 생득적이지만 학습의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슬프면 울고 기쁘면 웃는 행동은 문화 차이와 무관하게 나타나며,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아이들도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정서 표현을 하게 된다는 것이 생득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또, 인간의 기본적인 정서(행복, 분노, 슬픔, 혐오, 공포, 놀라움)에 대한 표정을 보여주고 그와 관련된 정서를 찾아내게 하면 문화차이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윈은 정서 표현 중 어떤 것은 문화마다 다르며 경험을 통해 학습된다고 했다. 우리나라, 일본과 같은 집단주의 문화권에서는 개인감정을 억제하는 것이 미덕이라지만 미국이나 서유럽 같은 개인주의 문화권에서는 개인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을 바람직하.. 2023. 3. 27.
정서와 조절_Ⅰ 1. 정서에 대한 이론 초기의 대표적 정서이론이 제임스–랑게(James–Lange)의 말초설과 캐논–바드(Cannon–Bard)의 중추설이 있다. 말초설은 화가 나서(감정) 싸운다는(행동) 우리의 상식과 다르게 싸우다 보면(행동) 심장도 뛰고, 얼굴도 붉어지고 그 결과 화가 난다고 (감정) 보았다. 즉, 웃다가 보면 마음이 저절로 즐거워지고 울다 보면 슬퍼지는 것을 보면 설득력 있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말초설의 가정과 달리 신체 반응이 정서와 1:1 대응을 보이지 않으며 정서를 신체 반응보다 더 빨리 느끼는 경우도 있다. 또, 인위적으로 신체 변화를 일으켜도 정서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중추설은 정서에 의한 생리적 변화와 정서에 대한 인지적 경험은 거의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분리하기 어렵다.. 2023.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