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의 이해40

인간의 발달_Ⅱ 2.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아기는 사람 목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쳐다보기도 하고 표정을 흉내 내는 경향도 보인다. 이렇듯 아기는 사회적 반응에 민감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애착과 사회규범과 관련된 도덕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알아보자. 1) 애착의 형성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존재는 엄마이다. 엄마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신체적 심리적 만족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아기는 생후 6개월쯤 엄마에게 강한 유대감을 갖게 되고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는 애착이 발달하게 된다. 정서적 변화를 애착이라고 하는데 이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1) 애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애착은 아기가 생애 처음.. 2023. 5. 18.
인간의 발달_Ⅰ 1.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1) 반사행동 신생아가 가지고 태어나는 반사행동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찾기 반사, 빨기 반사, 모로 반사나 루밍 반사(위험한 상황에서 매달리거나 피하는 데 필요한 반사행동), 바빈스키 반사(신경계의 미성숙을 보여주는 반사행동) 등이 있다. 특히나 연령이 증가하면서 생아의 생존을 돕기 위한 반사행동은 신경세포의 수초화가 진행되어 정보전달이 빨라지고 간뇌가 아닌 운동피질이 운동을 통제하면서 수의적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2) 지각능력 생후 3일밖에 되지 않은 신생아도 엄마와 타인의 목소리를 구분할 수 있으며 엄마 목소리를 더 좋아하고 들으려 한다고 한다(Decasper & Fifer, 1980). 또한 생후 18간 된 신생아도 자기 울음소리와 다른 아기의 울음소리를 구분한다는 결과도.. 2023. 5. 2.
이상행동과 치료_Ⅵ 7)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성격장애란 어릴 때부터 지닌 지속적인 행동 방식이 현실에 적응하는 데 기능적으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장애를 말한다. 성격장애로 진단받으려면 개인행동이 그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 심하게 벗어나야 하고, 행동이 고정되고 융통성이 없고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성격장애라고 할 수 있는 부류에는 지나치게 의존적인 사람, 공격적인 사람, 지나치게 소극적이어서 대인 접촉이 거의 없는 사람 등 이러한 것들이 장기화되고 습관화되어 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성격장애자는 자기를 환자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어렵고 평생 유지되며 문화에 따라 다르게 수용되기도 한다. DSM.. 2023. 4. 25.
이상행동과 치료_Ⅴ 5)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 독일의 정신과 의사 크래펠린(19세기 말)이 분열증과 조울증으로 정신병의 형태를 크게 분류했다. 우울장애는 기분이 너무 가라앉아서 고통스럽고 일상생활에 적응이 어려운 데 비해 양극성 장애는 기분이 지나치게 들뜨거나 산만하고 무모한 행동을 하는 조증과 우울이 불규칙하게 반복되어 불안정한 기분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DSM–VI에서는 양극성 장애와 우울장애는 기분장애의 하위장애로 분류, DSM–5에서는 두 장애를 서로 다른 원인을 가지고 있고 치료 방법도 다른 장애로 간주한다. (1)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우울감이나 슬픔, 무가치감 같은 정서 특성, 눈물이나 무표정, 흥미 저하 .. 2023. 4. 14.
이상행동과 치료_Ⅳ 4) 해리장애와 신체 증상 관련 장애(Dissociative Disorders and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사람은 상황이 변화되어도 자기의식을 유지하는데 감당하기 힘든 충격을 받게 되면 자기 보호를 위해 의식이 단절되는 해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종교, 게임에 심하게 몰입하는 경우에도 해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해리 현상을 넘어서 부적응 양상이 나타나면 해리장애라고 할 수 있다. (1)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정체감이 분열되어 있고, 외상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잘 나지 않으며 이런 증상들로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것을 말하며 전에는 다중성격장애(다중.. 2023.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