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 교수의 기초_Ⅱ

by 빛글.S 2024. 1. 16.
반응형

4. 교육심리학의 연구 방법

1) 기술연구

 기술연구는 한 현상에 대해 어떤 인위적인 변화를 가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기술하는 것이고, 어떤 상황이나 현상의 특징을 기술하기 위해 관찰, 검사, 면담, 설문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가령, 학습장애 정도에 따라 여러 교수 방법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슷한지 알아보기 위해 한 학급을 관찰하여 집단에 따라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관찰 방법을 활용해 인지발달을 기술한 피아제(Piaget) 이론은 교육심리학에서의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기술연구는 교육 상황에 관한 변인 간에 존재하는 기능 관계에 초점을 맞춰 정보를 제공하지만, 미래 사건을 예측하게 하거나 관계를 기술하지 않는다.

2) 상관연구

 상관연구는 변인의 통제, 조작이 어려울 때 자연적 상황에서 여러 변인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고 상관계수를 사용해 변인 간 관계의 정도와 방향을 나타내며 그 계수는 -1.00에서 +1.00의 값으로 표시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높다. +인 경우는 정적 상관이고 -인 경우는 부적 상관이며 0은 상관관계가 없음을 말한다. 

 정적 상관은 한 변인의 값이 커질 때 다른 변인의 값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가령, 학습에 투자한 시간이 많을수록 학점이 높게 나오는 것이다.

 부적 상관은 한 변인의 값이 커질 때 다른 변인 값이 작아지는 것을 말한다. 가령, 학생이 결석을 많이 할수록 학점이 낮아지는 것이다.

 상관연구는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인과관계를 밝히는 연구는 아니다. 가령, TV에서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한 아동은 공격적 행동을 많이 한다는 상관연구를 얻을 수 있다. 이 결과는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접한 시간과 공격적 행동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일 뿐, 폭력적인 프로그램 시청이 아동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위험하다. 왜냐하면 공격적 행동을 많이 하는 아동이 폭력적인 프로그램을 더 선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관연구는 인위적인 상황을 만들지 않고 변인을 그대로 연구할 수 있고 여러 변인의 상호관계를 동시에 연구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변인이 다른 변인의 원인이 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는 설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3) 실험연구

 실험연구는 연구자가 관심 있는 변인을 설계하고 연구 대상에게 처치를 가하여 변인 간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실험연구는 연구자가 임의로 조작한 독립변인과 독립변인에 영향을 받는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변인의 설정은 중요하다. 가령, TV 폭력물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고 한다면 TV 폭력물은 독립변인, 아동의 공격성은 종속변인이라 한다. 

 실험연구에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려면 연구자가 연구 대상에게 처치를 가하는 실험집단과 실험과 관계된 처치를 경험하지 않는 통제집단을 구성해야 한다. 통제집단의 목적은 실험집단과 결과를 비교하는 데 있다. 가령, TV 폭력물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고 하는 연구에서 실험집단에는 TV 폭력물을 시청하게 하고 통제집단에는 비 폭력물을 시청하게 한 후 일정시간이 지난 뒤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 아동의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면 TV 폭력물이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실험집단에서 공격적 행동이 나타난 아동이 더 많았다면 독립변인의 영향으로 보기 힘들다. 따라서 연구자는 대상을 배치할 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들어갈 확률이 동등하도록 무선 배치할 필요가 있다. 

 실험연구는 변인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밝혀주는 장점이 있지만 통제된 실험 조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윤리적인 면을 잘 고려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