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보기154 학습자의 개인차_Ⅳ 5. 지능에 대한 교육적 논쟁 지적 발달에 대한 연구가 1960년대 시작되면서 생의 초기 지적 발달은 이후 지능발달과는 아무 관련 없다(Hunt, 1967)고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지기능이 안정되고 성숙해지면서 이후 지적 발달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990년대 이후, 양자와 쌍둥이 연구를 통해 유전이 지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고 훌륭한 유전인자를 가진 영아들은 아동기에도 높은 수준의 지능발달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1) 지능발달의 요인 : 유전 대 환경(1) 유전의 가능성 지능발달에 유전의 영향은 크다. 스티스와 카델(Stice & Cattell, 1955), 버트(Burt, 1958)는 아동, 쌍둥이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지능이 유전의 영향을 받고.. 2024. 5. 5. 학습자의 개인차_Ⅲ 4. 최근의 지능이론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가드너(Howard Gardner, 1983; 1999)는 인간의 지능을 숫자로 표현하는 심리측정이론가를 비판하면서 적어도 일곱 가지 지능을 갖는 다중지능이론(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을 ⌜마음의 틀⌟이라는 책에서 제안하였다. 다중지능이론이란 각 개인이 특정 분야의 개념과 기능을 어떻게 배우고, 활용하며, 발전시켜 나가는가 하는 문제해결 능력을 말한다. 또는 가치 있는 결과를 생산하는 능력으로서 한 개인이 속한 문화권에서 가치 있다고 인정하는 분야의 재능을 말한다(한국 교육심리학회, 2000). 그 후 여덟 가지 지능(자연 지능)을 소개하고 아홉째 지능(실존지능)을 고려하고 있는데, 각각의 지능은 지능을 수행.. 2024. 4. 22. 학습자의 개인차_Ⅱ 3. 지능의 생물학적 접근과 뇌 발달 다른 영역의 발달에 뇌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 출생 후 급격히 발달하는 뇌 영역은 감각피질이다. 뇌 발달은 출생 이전과 생후 사이,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 초기까지도 꾸준히 지속된다. 뇌는 수정 후 25일이 지나면 작은 관 모양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5~20주에는 관의 내부에서 엄청난 속도로 뉴런이 만들어진다. 출생 시 인간의 뇌는 성인 뇌의 1/4 크기이지만, 만 3세가 되면 성인 뇌의 3/4 크기로 발달하게 된다. 대뇌피질은 출생 시 가장 덜 발달한 부분으로 유아기와 아동 초기에 일어나는 피질의 변화가 아동의 사고력 및 추리력 발달의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Ormrod, 2009). 출생 후 2세까지는 뉴런이 매우 복잡하게 연결되고, 2세 이후 뉴런의 성장과 .. 2024. 4. 8. 학습자의 개인차_Ⅰ 1. 지능의 개인차 1) 지능의 개념 지능(intelligence)은 학습을 위한 일반적인 적성 혹은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하고 이용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비네(Binet)은 지능을 일정한 목적을 세우고 지속하는 경향, 의도한 결과를 성취하기 위해 적응하는 능력, 자기비판 능력이라고 하고, 터먼(Terman)은 추상적 사상을 다루는 능력, 웩슬러(Wechsler)는 유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종합적 능력이라고 했다. 지능의 정의와 이론은 복잡하고 다양하지만 지이론을 네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1900년대 초부터 1950년까지 지능이론과 측정을 주도해 온 심리측정적 관점, 피아제(Piaget)의 인지 발달론적 관점, 인지심리학의 발달에 따른 정보처.. 2024. 3. 18. 학습자의 성격적 · 사회적 · 도덕적 발달_Ⅵ 5. 발달적 위기와 대처방법 3) 자살 성인기로 발달하는 과정인 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고 이 시기의 자살 위기는 어떤 시기보다 높아진다. ' 자살'은 행동을 감행한 당사자가 본인이 살게 될지, 죽게 될지 모르는 채 짧은 기간에 행한 의도적인 자해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살 생각과 자살 계획을 이야기할 때 '자살 행동'이라고 말하고, 자살 시도나 자살할 정도로 위험한 상황에 있을 때 '자살 위기'라고 표현한다. 2013년 통계에 의하면 2011년 청소년(15~24세) 사망원인은 자살(고의적 자해) > 운수사고 > 악성 신생물(암) 순이었다. 청소년 자살지수는 2001년 7.7명에서 2011년 13.0명으로 증가하는 반면, 사고와 질환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2012년 청소년의 11.2%.. 2024. 3. 4.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