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154

인지적 접근의 학습_Ⅰ 학습에 대한 인지적 접근법은 사고의 변화에 초점을 둔 이론으로 학습하는 동안 정보를 처리하고 표상하는 것의 기저가 되는 정신기제를 강조한다.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다.첫째,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한다. 학습자는 제시된 정보를 그대로 부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사전지식과 연계하여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한다.둘째, 학습자는 자기의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학습성과를 나타낸다. 사전경험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할 수 있다.셋째, 학습은 직접경험을 뛰어넘는 행동의 변화, 행동 잠재력의 변화까지 포함하고 있다. 즉, 변화의 과정은 내면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1. 정보처리 이론 : 표준 기억 모형 정보처리 이론이란 주변의 자극을 어떻게 지각하고, .. 2024. 6. 23.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접근_Ⅲ 3. 사회인지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이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혹은 타인이 수행한 행동의 결과에 따라 다음 행동에 대한 기대와 신념을 예측하는 학습이론이다. 가령, 친구가 수업 시간 발표를 한 뒤 교사에게 칭찬받는 것을 보며 다음 수업 시간에 자기도 발표할 것이라는 기대와 신념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의 학습은 대리학습을 통해 기대와 신념과 같은 정신적인 과정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사회학습이론은 행동주의 이론을 반대하며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행동의 상호성을 강조하였고 학습이 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지각, 기대, 믿음 등 인지적 속성이 개입되기에 사회인지 학습이론으로 불리게 된다.1) 사회인지 학습이론 사회인지 학습이론은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1925~) 실.. 2024. 6. 9.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접근_Ⅱ 2. 조작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 행동주의 창시자인 존 왓슨(John Watson, 1878~1958)은 인간의 모든 행동은 행동주의 원리를 이용해서 형성시킬 수 있다고 했다. 현대 행동주의자 중 가장 영향력 있는 버러스 프레더릭 스키너(Burrhus F. Skinner, 1904~1990)는 실험적 분석 방법으로 행동을 연구했으며 그 또한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의 영향에 의해 형성된다고 했고, 동물연구를 토대로 인간의 학습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조작적 조건화의 원리를 강조했다. 조작적 조건화란 인간 또는 다른 유기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에 대하여 보상하거나 벌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1) 조작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의 원리는 자극.. 2024. 5. 29.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접근_Ⅰ 교실에서 수업하다 보면 교사는 학생의 행동으로 인해 많이 고민하게 된다. 교사가 수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학생이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않거나 말을 듣지 않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학생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벌을 준다면 어떤 벌을 줄 것인지? 발표 불안을 가지고 있는 학생에게 불안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등의 행동주의 학습 원리는 교실에서 많이 사용되며, 이 원리의 작용 과정을 잘 이해하게 되면 수업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이론으로 자극에 의해 반응이 유발되는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화 이론과 반응 이후 결과 여부에 따라 반응이 방출되는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화 이론을 들 수 있다.1. 고전적 조건화에 의한 학습 .. 2024. 5. 23.
학습자의 개인차_Ⅴ 6. 인지 양식과 학습양식 인간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인차를 보인다. 자기 주위 환경이나 사물을 지각할 때, 자기의 인지적·정의적 특징에 따라 주어진 상황이나 정보에 대해 독특한 방식으로 지각, 기억, 사고하는 등 인지 활동을 수행한다(조영남, 1991). 인지과정에 있어서 이러한 개인차를 인지 양식이라고 한다. 그리고 정보의 인식, 수집, 처리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선호도를 학습양식(learning style, 학습 선호도)이라고 한다(이재우, 2014).  인지 양식과 학습양식의 개념은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공통된 입장은 개인의 능력과는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개념이라는 것이다.1) 인지 양식 사물을 지각하고 인지하는 개인의 독특하고 일관된 정보처리 양식을 말한다(조경자, 2000.. 2024.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