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97

이상행동과 치료_Ⅴ 5) 우울장애와 양극성 장애(Depressive and Bipolar Disorder) 독일의 정신과 의사 크래펠린(19세기 말)이 분열증과 조울증으로 정신병의 형태를 크게 분류했다. 우울장애는 기분이 너무 가라앉아서 고통스럽고 일상생활에 적응이 어려운 데 비해 양극성 장애는 기분이 지나치게 들뜨거나 산만하고 무모한 행동을 하는 조증과 우울이 불규칙하게 반복되어 불안정한 기분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DSM–VI에서는 양극성 장애와 우울장애는 기분장애의 하위장애로 분류, DSM–5에서는 두 장애를 서로 다른 원인을 가지고 있고 치료 방법도 다른 장애로 간주한다. (1)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우울감이나 슬픔, 무가치감 같은 정서 특성, 눈물이나 무표정, 흥미 저하 .. 2023. 4. 14.
이상행동과 치료_Ⅳ 4) 해리장애와 신체 증상 관련 장애(Dissociative Disorders and 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사람은 상황이 변화되어도 자기의식을 유지하는데 감당하기 힘든 충격을 받게 되면 자기 보호를 위해 의식이 단절되는 해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종교, 게임에 심하게 몰입하는 경우에도 해리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해리 현상을 넘어서 부적응 양상이 나타나면 해리장애라고 할 수 있다. (1)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해리성 정체감 장애는 정체감이 분열되어 있고, 외상적 사건에 대한 기억이 잘 나지 않으며 이런 증상들로 심리적 고통과 사회적 적응에 문제를 보이는 것을 말하며 전에는 다중성격장애(다중.. 2023. 4. 9.
이상행동과 치료_Ⅲ 2) 강박 및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혹시 문을 안 잠그고 나왔나 하고 생각하거나 악수할 때 세균이 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반복되는 것처럼 생각하고 싶지 않은 생각이나 심상이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반복되는 것을 강박관념(obsession)이라 하고, 열쇠로 문을 계속 잠그거나 외출 후 손을 여러 번 씻는 것처럼 비합리적 의식이나 행동을 강박행동(compulsion)이라 한다. (1)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장애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박사고는 고통스러 생각이나 심상, 충동이 반복적으로 머리에 떠오르는 것이고 강박행동은 강박사고와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같은 행동을 반복하.. 2023. 4. 8.
이상행동과 치료_Ⅱ 4. 주요 정신장애에 대한 소개 1)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사람은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위협이나 위험이 닥치면 불안을 느끼게 된다. 시험을 칠 때가 다가왔다든지, 어두운 밤길을 걷는데 뒤에서 발소리가 날 때 느끼는 불안은 당연하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별다른 상황이 아닌 보편적인 상황에서도 불안함을 느낀다면 이것은 불안장애라고 할 수 있다. 불안장애는 범불안장애, 특정공포증, 광장공포증, 사회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의 많은 하위 장애들로 이루어져 있다. (1)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범불안장애는 늘 걱정을 많이 하고 사소한 일에도 긴장을 잘하고 이런 특성 때문에 예민하고 만성피로를 느끼고 수면장애 같은 신체 증상을 보이게 된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많이 진단.. 2023. 4. 7.
이상행동과 치료_Ⅰ 1. 이상(abnormality)과 정상(normality)을 구분하는 기준 이상과 정상을 구분하기 위해 적용되어온 기준 중 이상 행동이라고 부르는 기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통계적 기준 : 대부분의 사람은 그렇지 않은데 혼자만 독특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우다. 어떤 행동이 정상 분포에서 95%의 범위를 벗어난 행동을 이상행동이라 부를 수 있다. 그 예로, 부모님의 장례식에서는 슬픈 감정을 느껴야 하는데 혼자 즐거운 느낌이 드는 것. 그러나 이상행동으로 느끼는데도 통계적 기준에 따라 이상행동이 아닌 경우가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사람이 죽었는데도 그 사람의 목소리가 들린다면 이상행동이지만 통계적으로 볼 때 남편이 사망한 후 미망인의 50~90%가 남편의 목소리를 듣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보면 이것은.. 202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