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Ⅶ
4. 상담 매체 청소년은 자기감정이나 생각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표현력의 한계일 수 있지만, 심리적 저항이나 방어기제의 작용으로 청소년은 상담사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발적으로 상담에 온 청소년도 언어적 상담보다는 음악, 미술, 그림, 문학, 게임 놀이를 선호한다. 청소년 상담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데, 이것은 의사소통 및 표현을 촉진하고,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증진하며, 표현 및 창의 예술활동을 통해 상담의 집중도를 높이고, 자기 인식 수준을 높이며, 예상치 못했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도와준다. 창조적인 상담 매체로는 미술, 음악, 동작, 연극, 독서, 글쓰기 치료, 이야기, 놀이, 게임, 사진..
2024. 11. 18.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Ⅱ
2. 상담 과정1) 초기 단계 상담의 초기 단계는 상담의 구조화, 관계 형성하기, 상담 목표 합의하기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1) 상담의 구조화 상담의 구조화란 상담자가 초기 단계에서 상담에 관련된 상담의 특성, 조건, 절차 등에 관한 제반 규정과 상담의 한계에 대해 내담자에게 설명해 주고, 내담자와 상담자가 합의하는 것이다. 제반 규정에는 상담 시간, 상담 약속 취소나 연기 방법, 상담 횟수, 상담 장소, 상담자 및 내담자의 역할, 위기 시 상담자에게 연락하는 방법, 상담 관계의 성격, 상담 요금 규정 등에 관한 실질적 지침이 포함된다. 상담의 한계는 상담 장면에서 할 수 있는 것이 있지만, 할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내담자에게 분명히 구분해서 알려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담에서 비밀보장은 가장 ..
2024.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