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화이론1 청소년 문제행동 이론_2 2장. 청소년 문제행동 이론2. 청소년 문제행동 관련 이론3) 사회구조적 이론 사회구조의 문제에 의해 문제행동이 나타난다는 사회구조적 이론은 뒤르켐(Durkheim, 1950)이 주장한 아노미 이론으로 대표된다. 아노미란 사회가 산업화하면서 구성원 간의 사회적 결속이 약화되고, 사회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사회의 규칙이 붕괴하는 무규범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아노미 상태에서는 사회 규칙 및 행동규범이 약화되거나 부재하기 때문에 개인은 행동의 옳고 그름에 대한 기준이 없게 되며,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다. 머턴(Merton, 1957)은 아노미 이론을 체계화시켰다.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즉, 사회가 추구하는 목표와 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 수단과의 괴리에서 나타난.. 2025. 6.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