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작적 조건형성 원리1 정서와 조절_Ⅱ 3. 정서의 표현 다윈 이후 여러 학자들이 정서 표현은 부분적으로는 생득적이지만 학습의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슬프면 울고 기쁘면 웃는 행동은 문화 차이와 무관하게 나타나며,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아이들도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정서 표현을 하게 된다는 것이 생득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또, 인간의 기본적인 정서(행복, 분노, 슬픔, 혐오, 공포, 놀라움)에 대한 표정을 보여주고 그와 관련된 정서를 찾아내게 하면 문화차이가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윈은 정서 표현 중 어떤 것은 문화마다 다르며 경험을 통해 학습된다고 했다. 우리나라, 일본과 같은 집단주의 문화권에서는 개인감정을 억제하는 것이 미덕이라지만 미국이나 서유럽 같은 개인주의 문화권에서는 개인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을 바람직하.. 2023. 3.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