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서의 기능1 정서와 조절_Ⅰ 1. 정서에 대한 이론 초기의 대표적 정서이론이 제임스–랑게(James–Lange)의 말초설과 캐논–바드(Cannon–Bard)의 중추설이 있다. 말초설은 화가 나서(감정) 싸운다는(행동) 우리의 상식과 다르게 싸우다 보면(행동) 심장도 뛰고, 얼굴도 붉어지고 그 결과 화가 난다고 (감정) 보았다. 즉, 웃다가 보면 마음이 저절로 즐거워지고 울다 보면 슬퍼지는 것을 보면 설득력 있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말초설의 가정과 달리 신체 반응이 정서와 1:1 대응을 보이지 않으며 정서를 신체 반응보다 더 빨리 느끼는 경우도 있다. 또, 인위적으로 신체 변화를 일으켜도 정서를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중추설은 정서에 의한 생리적 변화와 정서에 대한 인지적 경험은 거의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분리하기 어렵다.. 2023. 3.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