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예방정신의학1 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내재화 문제_Ⅱ 2. 우울증1) 특성과 실태 우울장애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복합적인 상태로 규정할 수 있다. 주요 우울장애는 우울한 기분, 무가치감, 부적절한 죄책감과 같은 심리적 증상뿐만 아니라 현저한 체중 변화, 불면증, 지나친 수면과 같은 신체적 증상을 수반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우울증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는 여러 이유가 있다. 제2 성장 급등기인 사춘기를 거치면서 호르몬과 생리적 기능이 변화되고, 외기능이 성숙하는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는 추상적,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며 미래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는데, 이런 인지발달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나 자신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쳐 우울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우울증을 규정하는 진단 기준은 발달단계에 상.. 2024. 10.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