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154

공격행동과 친사회행동_Ⅰ 1. 공격행동이란 무엇인가 공격행동이란 물리적, 언어적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의 공격행동은 범죄자의 범죄행위, 스포츠에서 대결, 사법기관의 처벌, 국가 간의 전쟁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공격행동의 허용 여부는 남에게 해를 끼칠 의도가 있었는지에 달려 있다. 공격행동은 도구적 공격행동과 적대적 굥격행동으로 구분된다(Feshbach, 1964). 도구적 공격행동은 자기 욕구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공격행동을 하는 것이고, 적대적 공격행동은 좌절이나 분노로 인해 남을 해치기 위해 하는 공격행동이다. 1) 공격행동을 바라보는 관점 (1) 진화생물학적 관점 위협적인 상황에서 종족이 생존하는 데 공격성이 도움이 된다고 본다. 즉, 공격행동은 먹이 구하기, 영토 보존, 배우자 선.. 2023. 7. 19.
인간의 발달_Ⅴ 4. 청소년기의 발달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독립된 인격체를 형성하고 사회인으로서 자립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시기가 청소년기이다. 1) 인지적 특징 가설을 통해 문제해결, 어떤 상황에 대한 언어적 진술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하는 형식적 조작단계가 청소년기에는 시작된다. 청소년은 유연하게 사고하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능력은 현재 직접 경험하는 구체적인 상황을 넘어 죽음, 자유, 종교, 이념, 인류의 미래 등과 같은 추상적 문제들에 대해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Jaffe,1998). 그리고, 성격이나 행동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긍정적 영향으로는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정체감을 가질 수 있게 .. 2023. 7. 11.
인간의 발달_Ⅳ 3. 아동기의 발달 아동기는 만 6~7세부터 12세까지를 말하며 이 시기 아동은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고 집단생활에서의 규칙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사회생활의 기본을 익히게 된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에서 조금씩 벗어나며 친구들과 또래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1) 인지능력의 발달 피아제는 인지능력의 발달이 환경 자극에 대한 자기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도식을 형성하는 과정이며 동화와 조절을 통해 일어난다고 보았다. 동화란 자기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고, 조절은 기존의 도식과 맞지 않는 새로운 정보가 누적되어 도식이 변화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네 발을 가지고 있는 동물은 개다"라는 도식을 알게 되었을 때 고양이를 처음 봤다면 도식에 맞추어 "개.. 2023. 6. 25.
인간의 발달 _Ⅲ 2) 사회성 발달과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양육 태도는 영유아기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형성된 사회성은 성장한 후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봄린드(Baumrind, 1971)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재적 유형, 권위적 유형, 허용적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양육 태도가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독재적 부모는 자녀에게 냉정하고 자기가 정한 행동 기준을 강요하고 따르지 않으면 처벌하고 이런 부모의 자녀는 불만이 많고 위축되어 있고 불신감이 크다. 권위적 부모는 자기 가치관에 따라 자녀를 엄격하게 통제하지만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에 익숙하다. 또 일관성 있고 자녀의 의견과 흥미를 존중한다. 이런 부모의 자녀는 자기가 사랑받고 있음을 알고 안정감을 느낀다... 2023. 6. 7.
인간의 발달_Ⅱ 2.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 아기는 사람 목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쳐다보기도 하고 표정을 흉내 내는 경향도 보인다. 이렇듯 아기는 사회적 반응에 민감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추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애착과 사회규범과 관련된 도덕성이 어떻게 발달하는지 알아보자. 1) 애착의 형성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중요한 존재는 엄마이다. 엄마를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신체적 심리적 만족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아기는 생후 6개월쯤 엄마에게 강한 유대감을 갖게 되고 엄마가 보이지 않으면 불안을 느끼는 애착이 발달하게 된다. 정서적 변화를 애착이라고 하는데 이는 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1) 애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애착은 아기가 생애 처음.. 2023.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