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외현화 문제_Ⅲ
2. 학교폭력과 집단괴롭힘1) 특성과 실태 학교폭력예방법 2조 1항에 의하면,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 유인, 명예훼손 · 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 폭력 정보 등에 의해 신체 ·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포괄적으로 규정한다. 전반적으로 학교폭력은 신체적 · 물리적 유형, 언어적 · 정신적 유형, 일진 등 폭력서클과 관련된 집단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폭력 유형은 생활법령정보를 통해 예시되어 있다. 신체적 · 물리적 유형의 예로는 고로 건드리거나 치는 등 시비를 거는 행위, 때리는 행위, 목을 조르는 행위, 꼬집는 ..
2024. 10. 30.
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외현화 문제_Ⅰ
1. 비행1) 특성과 실태 비행은 절도, 강도, 폭력, 기물파손, 약물 사용과 같이 ⌜형법⌟ 에 의해 금지된 행동을 말한다. 비행은 일반적으로 청소년기에 시작되는 일련의 반사회적 행동에 붙여지는 법적인 개념이다. 청소년 비행에는 지위 비행이 포함되는데, 지위 비행이란 성인이 했을 때는 범죄로 규정되지 않으나 청소년에게만 불법인 행위를 말하는데 그 예로 무단결석이나 부도덕한 사람과의 교제 등을 들 수 있다. 청소년 비행을 다루는 방식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형벌보다는 교육에 중점을 두는 공통점이 있다. ⌜소년법⌟ 에서 비행 청소년을 분류하는 기준을 보면, 개입이 필요한 소년범은 우범소년, 촉법소년, 범죄소년으로 구분된다. 첫째, 우범소년은 10세 이상 19세 미만인 자로 보호자의 정당한 감독에 불복종, 가..
2024. 10. 29.
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내재화 문제_Ⅳ
4. 자아정체감 혼란1) 특성 에릭슨이 기술한 정체감은 아동기 동일시를 단순하게 합산한 것 이상의 개념으로, 모든 동일시를 리비도의 변화, 태도, 사회적 역할로 주어진 기회와 통합시키는 자아 능력의 경험이며, 내적 동일성과 과거에 준비했던 연속성이 조화를 이루는 데서 생기는 확신이다. 한상철(2008)은 자아 정체감의 의미를 네 가지로 정의했다.첫째, 자아 정체감은 '~로써의 나' 간의 통합둘째, 자아 정체감은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 미래의 나와의 연속성 또는 일관성셋째, 자아 정체감은 자신을 볼 때의 나를 뜻하는 주체적 자아(I)와 타인이 보는 것에 지각하는 나를 뜻하는 객체적 자아(me) 간의 조화감넷째, 자아 정체감은 절대적 자아, 자기 선택과 책임을 수반하는 '나는 나'라는 실존적 자아의 상태..
202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