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단상담자자질1 청소년상담 유형_Ⅰ 1. 집단상담1) 집단상담의 의미 실존치료자 얄롬(Yalom, 1995)은 집단 내에서의 "치료 효험이 있는 요인"으로 이타주의(다른 집단원에게 베푸는 것), 카타르시스(정서,감정을 해소하는 것), 동일시(집단원이나 지도자를 모델링하는 것), 가족 재연(마치 어떤 사람이 가족 내에 있는 것처럼 느끼고,그런 경험으로부터 배우는 것), 희망의 주입(삶에 희망을 느끼게 하는 것) 등을 비롯한 많은 다양한 요소를 제시했다. 청소년 상담 분야에서는 집단상담이 대중화되어 가고 있고, 내용이나 기법 면에서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천성문 등(2004)도 청소년 분야에서 집단상담이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상담에 비해 실시되는 범위도 넓고 효과도 크다고 했다. 집단상담의 가장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요인은.. 2024. 11.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