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내재화 문제_Ⅳ
4. 자아정체감 혼란1) 특성 에릭슨이 기술한 정체감은 아동기 동일시를 단순하게 합산한 것 이상의 개념으로, 모든 동일시를 리비도의 변화, 태도, 사회적 역할로 주어진 기회와 통합시키는 자아 능력의 경험이며, 내적 동일성과 과거에 준비했던 연속성이 조화를 이루는 데서 생기는 확신이다. 한상철(2008)은 자아 정체감의 의미를 네 가지로 정의했다.첫째, 자아 정체감은 '~로써의 나' 간의 통합둘째, 자아 정체감은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 미래의 나와의 연속성 또는 일관성셋째, 자아 정체감은 자신을 볼 때의 나를 뜻하는 주체적 자아(I)와 타인이 보는 것에 지각하는 나를 뜻하는 객체적 자아(me) 간의 조화감넷째, 자아 정체감은 절대적 자아, 자기 선택과 책임을 수반하는 '나는 나'라는 실존적 자아의 상태..
2024.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