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교폭력2

청소년기 심리적 부적응의 외현화 문제_Ⅲ 2. 학교폭력과 집단괴롭힘1) 특성과 실태 학교폭력예방법 2조 1항에 의하면, '학교폭력'이란 학교 내외에서 학생을 대상으로 발생한 상해, 폭행, 감금, 협박, 약취 · 유인, 명예훼손 · 모욕, 공갈, 강요·강제적인 심부름 및 성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음란 · 폭력 정보 등에 의해 신체 · 정신 또는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포괄적으로 규정한다. 전반적으로 학교폭력은 신체적 · 물리적 유형, 언어적 · 정신적 유형, 일진 등 폭력서클과 관련된 집단폭력, 따돌림,  사이버따돌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폭력 유형은 생활법령정보를 통해 예시되어 있다. 신체적 · 물리적 유형의 예로는 고로 건드리거나 치는 등 시비를 거는 행위, 때리는 행위, 목을 조르는 행위, 꼬집는 .. 2024. 10. 30.
학습자의 성격적 · 사회적 · 도덕적 발달_Ⅵ 5. 발달적 위기와 대처방법 3) 자살 성인기로 발달하는 과정인 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고 이 시기의 자살 위기는 어떤 시기보다 높아진다. ' 자살'은 행동을 감행한 당사자가 본인이 살게 될지, 죽게 될지 모르는 채 짧은 기간에 행한 의도적인 자해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살 생각과 자살 계획을 이야기할 때 '자살 행동'이라고 말하고, 자살 시도나 자살할 정도로 위험한 상황에 있을 때 '자살 위기'라고 표현한다. 2013년 통계에 의하면 2011년 청소년(15~24세) 사망원인은 자살(고의적 자해) > 운수사고 > 악성 신생물(암) 순이었다. 청소년 자살지수는 2001년 7.7명에서 2011년 13.0명으로 증가하는 반면, 사고와 질환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다. 2012년 청소년의 11.2%.. 2024.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