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악치료2

청소년상담의 과정과 기법_Ⅶ 4. 상담 매체 청소년은 자기감정이나 생각을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표현력의 한계일 수 있지만, 심리적 저항이나 방어기제의 작용으로 청소년은 상담사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자발적으로 상담에 온 청소년도 언어적 상담보다는 음악, 미술, 그림, 문학, 게임 놀이를 선호한다. 청소년 상담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데, 이것은 의사소통 및 표현을 촉진하고,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기능을 증진하며, 표현 및 창의 예술활동을 통해 상담의 집중도를 높이고, 자기 인식 수준을 높이며, 예상치 못했던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도와준다. 창조적인 상담 매체로는 미술, 음악, 동작, 연극, 독서, 글쓰기 치료, 이야기, 놀이, 게임, 사진.. 2024. 11. 18.
감각과 지각_Ⅱ 3. 우리가 아름다운 소리를 듣게 되는 과정 1) 귀의 구조 소리가 음파의 형태로 귀를 통과하여 고막을 자극→고막이 음파에 의해 흔들리면서 소리를 증폭→고막에 붙어있는 이소골(침골, 추골, 등골)을 통해 소리를 내이로 전달→이소골의 움직임은 달팽이관(와우각)의 앞부분에 있는 난원창 자극→난원창이 움직이면 달팽이관을 채우고 있는 액체도 함께 움직여 청신경의 신경섬유인 유모세포의 활동을 일으킨다. →유모세포의 활동은 청신경을 통해 뇌의 측두엽에 있는 청각피질에 정보 전달→소리 들을 수 있다. 소리는 공기를 통해 전달, 얼굴 뼈에 있는 뼈를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 2) 소리의 음고와 위치를 어떻게 알아차리나 음고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은 헬름홀츠의 장소이론과 러더포드에 의해 제안되고 위버가 수정한 빈도이론이다... 2022. 12. 2.